그들에게 린디합을
손보미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보미 작가의 첫 소설집이다. 첫 단편 <담요>를 읽고 나의 취향에 맞는다고 생각했다. 서사가 분명해서 읽는 재미를 주었기 때문이다. 물론 경찰서장이 순찰을 돈다거나 하는 세부적인 의문사항이 있지만 아들을 잃은 아버지의 감정이 잘 묻어났다. 친구의 상사 이야기를 소재로 소설을 썼고, 그 친구가 죽은 후 그 당사자를 만나 이야기를 듣는다는 구성이다. 많은 것이 생략된 상태에서 작가의 순진한 이야기가 왠지 모르게 감정 한 곳을 건드린 것이다. 담요가 지닌 의미가 새로운 인연으로 넘어가면서 풀릴 때 어쩌면 나 자신이 안도했는지 모른다.

 

<애드벌룬>은 읽으면서 바로 <담요>가 떠올랐다. 화자의 출생과 파셀이란 밴드의 사고와 경찰 아버지 등이 똑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 그 소년은 죽지 않았다. 살아서 자신의 인생을 살아간다. 그리고 이어지는 이야기 속에서 <담요> 속 소설을 비난하고, 이 단편집에 실린 다른 소설도 살짝 끼워넣는다. 이런 일련의 작업들의 연장선상에서 베이브 루스를 야구선수가 아닌 배우로 변신시킨다. 이때 이 소설은 평행우주 속 다른 세계임을 깨닫는다. 애드벌룬이 실제로는 UFO라고 믿든 화자의 말이 그 이야기 속에선 현실이 된 것이다. 앞에 나온 소설들의 세계를 뒤흔들면서 새롭게 바라보게 만든다. 이 단편이 가장 마지막에 실린 것은 당연한 순서다. 물론 가장 나중에 발표되었다.

 

<폭우>는 다른 부부를 번갈아 등장시켜 이야기를 풀어낸다. 처음에는 ‘뭐지’ 하는 의문이 들었지만 끝으로 오면서 연결점이 생긴다. 이 두 부부가 느꼈던 슬픔과 분노의 감정이 나에게 전이되지 않고 왠지 겉돌았다. 평안한 모습으로 인스턴트커피를 마시는 고메식당의 주인도 이질적으로 다가왔다. <침묵>은 더 낯설었다. 그러다 갑자기 등장한 외판원은 코믹하지만 불쌍하게 다가왔다. 이 부부의 미래가 왠지 모르게 늪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것 같다. <여자들의 세상>은 자기만의 세상아 갇힌 한 남자의 불행한 이야기다. 그의 사랑은 머릿속에서만 진행된다. 이것은 <육 인용 식탁>에서 다시 벌어진다. 화자의 아내와 친구 윤의 아내가 내뱉는 이야기 속에서 진실이 보이지 않는다. 그들이 상상이 만들어낸 환상이 현실을 뒤흔든다.

 

<과학자의 사랑>은 작가를 번역자로 등장시켜 한 과학자 고든 굴드의 사랑을 말한다. 그의 사랑은 한 가정부에 의해 흔들리고 오해를 불러온다. 공식화되지 못한 자신의 이론을 들어줄 사람을 찾던 한 과학자의 삶이 어떤 변천사를 거치는지 보여주는데 그렇게 흥미롭지 않다.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서 힌트를 빌려 쓴 듯한 느낌이 든다. <달콤한 잠-팽 이야기>는 추측할 수밖에 없는 이야기들이 흘러나온다. 팽이 게이가 아닐까 하는 것과 런던의 스트립걸과 연인이 아니었을까 하는 정도. 안정적이어야 할 사랑이 흔들릴 때 살짝 내비치는 불안이 여운으로 남는다.

 

표제작 <그들에게 린디합을>은 ‘린디합’ 대신 ‘린다합’으로 계속 잘 못 읽고 기억했다. 린디합이 스윙댄스의 한 장르라는 것도 처음 알았다. 이 소설이 재미있었던 것은 현실의 인물들이나 잡지를 자신의 소설 속에서 살짝 바꾼 채 풀어낸 것이다. 영화 잡지 <키노>의 정성일 편집장을 성일정으로 바꾼 것이 대표적이다. 한 유명감독의 다큐 영화<댄스, 댄스, 댄스>를 중심에 놓고 풀어내는 영화판의 이야기는 인용과 차용으로 가득하다. 다큐의 제목도 혹시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제목에서 빌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감독이 자살한 이유를 찾기보다 영화에 대한 것으로 이야기를 끌고 나간 것은 아쉽지만 박수를 치고 싶은 구성이다. 개인적으로 장편으로 만들어서 자살 원인과 그 속에 숨겨진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