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지금+여기 3
오찬호 지음 / 개마고원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이란 부제가 먼저 들어온다. 차별에 찬성한다는 제목과 함께. 단순히 제목만 보았을 때 왜 이 책을 많은 사람이 추천했는지 몰랐다. 이십대들이 차별에 찬성하는데 어떻게 추천할 수 있다는 말인가 하고. 하지만 저자가 내가 몰랐던 생생한 이십대의 모습을 보여주었을 때 왜 이런 제목이 탄생하게 되었는지 알게 되었다. 나의 이십대와 엄청난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점점 벌려지는 모습이 곳곳에 보였기 때문이다. 이 간극을 저자는 어디에서 생겼는지 주목했는데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가지는 못한 것 같다.

 

첫 장이 강의실에서 바보가 된 어느 시간강사 이야기다. 이 사건은 2008년 5월 13일 경기도 소재 한 대학에서‘KTX 여승무원 철도공사 정규직 전환 요구’문제를 논의하면서 생겼다. 저자가 바란 것은 ‘뭘 잘못했는가?’를 확인해가려는 정도의 문제였는데 한 학생이 “날로 정규직이 되려고 하면 안 되잖아요?”라고 답한 것이다. 이것이 이 학생만의 의식이었다면 문제가 없을 텐데 대다수 학생들이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게 된 이유 중 하나가 여직원들이 계약직이란 것을 알고 들어갔고, 남들도 어렵고 힘들게 공부해서 공사에 들어갔는데 이렇게 정직원을 넘보는 건 도둑놈 심보라는 것이다. 그리고 시험을 치고 정정당당하게 들어가라고 말한다.

 

단순히 이 학생의 주장만 보면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더 깊게 들어가서 인간답게 살기와 동일노동 동일임금 규칙의 문제가 되면 달라진다. 비정규직들의 연대와 사회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바꿔 정규직으로 점진적 전환 등을 이뤄 나가야 하는데 문제는 이들의 의식과 인식 속에 이런 철학이나 사회의식이 없다는 것이다. 그들은 이것을 사회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자기계발을 하지 않은 각자의 탓이란 것이다. 이것은 지금 우리사회를 감싸고 있는 거대한 하나의 사회현상을 대표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후 저자는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로 자기계발과 대학서열을 내세운다. 한국에서 대학서열이 지금처럼 공고하게 굳어진 적은 없지만 이것은 80년대에도 있었다. 하지만 지방 명문대의 몰락과 우스운 IN서울이면 서울대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이상한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이 분위기를 동기들이나 고등학교 선생인 친구를 만나 이야기하면 하나의 당연한 진실인 것처럼 인식하고 있다. 가끔은 자신들의 과거를 왜곡하는 경우도 있었다. 가끔 나 자신도 이런 현상에 빠져 허우적거린 적이 있으니 이십대들을 탓할 수만은 없지만 이제는 이것이 당연한 듯 받아들여지고 있다. 문제가 더욱 심해진다.

 

얼마 전부터 이십대들은 자기계발의 하나로 스펙 쌓기에 몰두하고 있다. 사실 실제 업무에서 이들이 쌓은 스펙은 거의 쓸모가 없다. 영어 등의 언어는 업무의 필요에 따라 다르겠지만 실제 업무와 상관없는 수많은 스펙은 참조사항 중 하나일 뿐이다. 이력서를 받으면 당연한 듯 토익은 900 언저리고, 어학연수와 수많은 자격증도 같이 나와 있다. 이런 스펙들이 자기계발이란 이름으로 이십대의 시간을 좀먹고 있는 것이다. 이 시간들은 다시 그들의 의식과 행동을 조금씩 바꿔 놓는다. 2008년 촛불 집회에서 청춘들의 밝은 미래를 낙관했던 나에게 현실과 미래를 새롭게 보게 만들었다.

 

이십대는 실제 사회의 약자다. 하지만 그들은 앞으로 사회의 강자로 변할 가능성을 품고 있다. 흔히 386세대가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다시 기득권층으로 변해 더 심한 보수로 변했다는 일각의 주장을 볼 때 현재 이들이 차별을 당연히 받아들이는 현상이 지금만의 문제가 아님을 생각하게 된다. 저자는 자신의 이십대와 다르다고 말하지만 과연 얼마나 많은 차이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자신이 속했던 조직과 현재 학생들을 같은 선상에 놓고 비교한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이런 사회 분위기를 만든 것이 이십대가 아님을 머릿속에 두어야 한다. 기성세대가 이것을 이십대들에게 가르치고 요구하는 현실에서는 특히.

 

마지막 장에서 자기계발을 권하는 사회를 치유하자고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자기계발은 모든 문제의 시발점을 개인으로 보는 사회를 바꾸자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 하나의 해석으로 문재인의 대선 슬로건을 말한다. 기회 균등, 공정한 과정, 정의로운 결과. 이 슬로건의 해설은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아주 잘 나타낸다. 현재의 사회 현상이 원래 그랬던 것이 아니라고.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내려온 대학 서열과 자기계발의 악순환은 현실에서 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분명히 이 순환 고리를 끊어야 한다. 그러나 언론이나 대학사회를 쥐고 흔드는 사람들의 출신 학교를 생각하고 그들이 지금까지 한 행동과 표현을 생각하면 쉬운 일이 아니다. 이렇게 이십대들의 이런 적나라한 모습은 본다는 것은 불편한 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