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숲, 길을 열다 네이버 캐스트 철학의 숲
박일호 외 지음 / 풀빛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선택하게 된 것은 다루고 있는 철학자와 그 사상이 지금까지 나에게 너무 어려웠기 때문이다. 솔직히 말해 이 책을 읽은 현재도 어렵다. 왜 이렇게 근대, 현대 철학이 어려운지 잘 모르겠다. 적지 않은 철학 해설서를 읽었는데 말이다. 사실 이 책을 선택할 때 첫 번째 요소 중 하나가 이 어려움을 조금은 쉽게 다가가자는 것이었다. 두 번째는 전작 <철학의 숲, 길을 묻다>를 나름 재미있게 읽었기 때문이다. 이 의도는 솔직히 실패했다. 재미는 어느 정도 유지했다고 생각하지만 그 철학의 10분의 1도 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길을 열다’는 제목처럼 전작과 조금 다른 인물들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우리에게 경제학의 시조로 알려진 애덤 스미스나 찰스 다윈, 막스 베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이 바로 그들이다. 저자들은 이 독창적 사상가들이 지적자양분을 철학의 숲에서 받았다고 말하면서 이들이 철학에 끼친 영향을 말한다. 그들의 설명을 듣다보면 우리가 단순화하면서 너무 획일적으로 그들을 알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기고, 철학의 숲이 얼마나 넓고 깊은지 조금은 알게 된다. 그만큼 공부해야 할 것이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니 내가 이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고 해도 나의 머리가 턱없이 나쁜 것은 아니라는 조그만 위안을 만든다.

 

모두 21명의 철학자들이 나온다. 열 명이 근대 철학자와 열한 명의 현대 철학자다. 이중에서 현재 생존해 있는 분도 있다. 가장 마지막에 다루는 위르겐 하버마스다. 그리고 굉장히 낯선 철학자도 몇 명 있다. 거의 처음 이름을 듣는 철학자도 있고, 그의 비중을 몰라 이렇게 중요한 인물이었나 의문을 드러낸 철학자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것은 나의 학창시절이나 그 이후 언론을 통해 배우고 읽은 것들이라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또 자기 위안인가. 더 많이 철저하게 공부했다면 조금은 달라졌겠지만.

 

언제나 근대철학사를 읽다보면 독일계가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본다. 칸트, 헤겔, 마르크스, 니체 등이 그들이다. 다른 영미권이나 프랑스 철학자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이 대개 주류로 등장한다. 왜일까? 물론 이들의 철학이 철학사에 끼친 영향이 엄청나기에 그럴 것이다. 이것은 뒤에 나오는 그 유명한 비트겐슈타인의 오만에서 극에 달한다. 이런 천재적인 철학자들의 철학을 그냥 보통의 내가 이 한 권의 책으로 이해한다는 것이 사실 불가능하다. 수박겉핥기로는 더욱더.

 

학창 시절 철학 수업을 신청해 들었을 때도 이들 중 한 명의 책 중 겨우 몇 쪽을 가지고 한 학기 수업을 진행한 적이 있다. 헤겔의 <정신현상학>이란 책이다. 이렇게 어려운 책이고 겨우 몇 쪽으로 강의를 할 것이면 도서관에 해당 쪽들만 카피했으면 되는데 그 중요한 사실을 알려주지 않아 비싼 돈 주고 책을 샀다. 당연히 이 책은 책장 속에서 고이 잠들어 있다. 뭐 언젠가 한 번 읽어야지 하는 헛된 망상 속에서. 다행이라면 <자본론>을 사지 않은 것 정도랄까. 아마 샀다면 장서용 이상은 되지 않았을 것이다. 만화로 된 것도 겨우 읽고 아주 조금 이해한 상태인데.

 

철학자들이 네이버에 대중을 위해 철학 안내용으로 쓴 글이다. 사실 조금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착각했다. 역시 철학자답게 그들의 문장은 난해함으로 가득하다. 어쩌면 철학 용어들이 이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지도 모르겠다. 전문가들이 어려운 용어로 그들의 일을 풀어낼 때 늘 경험하는 일이지만. 물론 쉽게 읽고 지나간 부분도 있다. 지금 생각하면 잘 떠오르지 않지만 곰곰이 생각하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이미 전작을 읽을 때도 경험한 것인데 시간이 지나면서 잊은 모양이다. 뭐 그 때문에 나의 회색 뇌세포가 고생하면서 활성화된 부분도 있다.

 

이 저자들이 독자에게 요구한 것 하나를 말하겠다. 그것은 성찰적 사유다. “성찰적 사유는 자신을 되돌아보는 반성적 사유이며, 세상을 향해 던진 질문이 자기 자신에게 되돌아오는 재귀적 사유이기도 하다”(13쪽) 이 성찰적 사유의 주체로 독자 스스로 감당해야 할 몫이라고 말한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얼마나 부족했는지 알고 있다. 과거에 읽은 몇 권의 책이나 주마간산처럼 읽어나간 이 책에서 많은 것을 이해하고 얻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만 했다. 하지만 언젠가 철학에 대한 열정을 심어놓고 그 길을 나에게 열어주지 않을까 하는 또 다른 기대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