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의 고치 작가 아리스 시리즈
아리스가와 아리스 지음, 최고은 옮김 / 북홀릭(bookholic)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작가 아리스 시리즈 두 번째 작품이다. 이 시리즈를 뒤죽박죽으로 읽고 있다. 한 출판사에서 시리즈 순서대로 출간한다면 그대로 읽겠지만 여러 출판사에서 순서에 상관없이 출간되고 있다. 학생 아리스 시리즈는 상대적으로 시공사에서 제대로 나오고 있다. 이 시리즈가 몇 권 나오지 않았는데 그 중에서 읽은 것도 겨우 두 권이다. 긍정적으로 본다면 즐거움이 많이 남았다. 이것을 작가 아리스 시리즈로 옮긴다면 역시 뒤죽박죽 속에 많은 재미와 즐거움이 남았다는 의미다.

얼마 전 작가 아리스 시리즈의 최근작인 <주홍색 연구>를 읽었다. 이 두 작품의 완성도를 직접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개인적으로 이번 작품이 더 마음에 든다. 전문가의 평을 보면 <주홍색 연구>가 더 좋은 것 같다. 하지만 개인의 취향은 다를 수 있다. 그 취향의 차이가 생기는 것은 바로 달리와 히무라가 책 중간에 살인과 문화를 엮어서 풀어낸 해설 때문이다. 솔직히 말해 본격 추리 소설을 읽으면서 범인을 찾기 위해 그렇게 열심히 노력하지 않는다. 작가가 만들어낸 이야기 속에서 그 답을 찾는 능력이 너무 부족한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고, 가끔 불공정한 트릭이나 설정이 있기 때문이다.

아리스가와 아리스는 독자와 공정한 경쟁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작가가 몇 개월 혹은 몇 년에 걸쳐 쓴 소설을 독자가 몇 시간 읽고 완벽하게 파악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그러니 불공한 경쟁이 될 수밖에 없다. 물론 허술한 구성과 전개로 쉽게 밝혀지는 트릭이나 범인이 등장하는 소설들이 적지 않다. 이런 소설들은 독자의 사랑을 받지 못한다. 그렇다면 좀더 심리적이고 독창적이면서 모든 미스터리가 풀렸을 때 누구나 아! 하고 감탄할 트릭이나 구성을 만들어야 한다. 뭐 이것이 쉽다면 누구나 미스터리 거장이 될 것이다. 평단이나 독자들에 의해 그런 사람 중 한 명으로 인정받는 작가가 바로 아리스가와 아리스다.

달리와 살인. 사실 이것만 놓고 보면 미술품과 관련된 살인처럼 보인다. 하지만 달리를 좀더 파고들고 비틀어 풀어놓으면 비슷하지만 다른 이야기가 된다. 이 소설의 피해자인 도조 슈이치가 그 이야기의 중심에 있다. 그는 살바도르 달리의 신봉자이자 태어난 날이 같고 주얼리 브랜드의 사장이다. 신봉의 정도가 심해 달리처럼 콧수염을 관리하고 있다. 약간 의외라면 그의 별장에 달리의 진품이 한 작품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곳에 있는 특이한 물건은 현대판 고치로 불리는 프로트 캡슐이라는 명상 기계다. 그가 시체로 발견된 곳도 바로 그 속이다.

한 회사의 사장이 죽었으니 가장 먼저 연상되는 것은 누가 원한을 가지고 있는가, 다. 성공한 사업가였던 것을 생각하면 적이 많을 것 같다. 거기에 한 여자를 두고 직원과 연적이 되기도 했다. 그가 죽으면 적지 않을 유산을 받을 배다른 동생도 있다. 누구나 살인자가 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그가 시체로 발견되는 과정이나 상황이 이상하다.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콧수염은 잘려 있고, 고치 속에서 살해당했을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 그의 겉옷도 보이지 않는다. 경찰의 수사로 집 안에서 살해당했다는 것을 알려주는데 그 흔적들이 모두 지워져 있다. 시체를 옮기고 혈흔을 지운 것은 또 왜일까? 이런 의문을 하나씩 내놓으면서 관계를 하나씩 풀어나간다.

<주홍색 연구>에서 히무라의 과거가 나왔다면 이번에는 아리스의 과거가 밝혀진다. 순서대로라면 아리스가 먼저지만 읽은 순서가 뒤다. 이런 시리즈를 읽을 때 소소한 재미 중 하나는 바로 이런 등장인물들의 과거사가 하나씩 나오는 것이다. 이 과거가 단순히 재미를 위해, 이야기를 채우기 위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제목에 나오듯이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고치가 무엇인지, 무슨 의미인지 보여주기 위해서다. 슈이치의 고치가 의미하는 바를 마지막 장에서 밝혀줄 때 이 모든 의문에 대한 해답이 자연스레 풀린다. 그리고 사건의 진실도. 이것은 또 살인과 문화를 엮은 해설과도 연결되는 부분이다. 가볍게 시작해서 가볍게 끝냈지만 읽고 난 후 그 연관성이 하나씩 이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