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렁커 - 제2회 중앙장편문학상 수상작
고은규 지음 / 뿔(웅진)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나’가 공터에 서 있다. 누군가를 기다린다. 그는 오지 않는다. ‘나’는 차 트렁크를 열고 들어간다. 그 속에 눕고 이야기는 과거로 흘러간다. 여기서 ‘나’는 화자인 온두고, 그는 성명이 ‘이름’이다. 첫 이야기는 이 둘의 만남으로 시작한다. 그 만남은 우연으로 가장된 필연이다. 온두는 남자의 핸드폰 벨소리에 평화를 방해받고, 남자가 그 땅 주인이라는 말에 안락한 보금자리를 잃을 것 같은 불안을 느낀다. 뭔가 충돌이 벌어질 것 같은 분위기지만 서로의 필요에 의해 아슬아슬한 긴장을 유지한다. 그리고 두 남녀의 과거 속으로 한 발씩 발을 내딛기 시작한다.

트렁커는 차 트렁크에서 자는 사람을 말한다. 먼저 이 단어를 들었을 때 왜 멀쩡한 집을 나두고 차 트렁크에서 잘까 생각했다. 뭐 세상에 괴팍한 사람들이 워낙 많으니 그런 모양이다 하고 대충 이해하고 넘어갔다. 그런데 이 둘의 만남에서 흘러나오는 이야기를 하나씩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게 되었다. 그들이 트렁크에서 자는 이유가 그곳이 좋아서가 아니라 잘 수밖에 없었다는 부분은 아픔을 던져준다. 이 소설은 그 아픔과 상처를 정면으로 마주하는 과정을 담아내는 과정을 결코 무겁지 않게 풀어낸다.

온두. 따뜻한 콩이란 의미다. 그녀는 유모차 판매원이다. 판매능력은 대단하다. 전국의 아기 엄마가 그녀에게 와서 살 정도다. 그렇게 된 이유는 간단하다. 유모차에 대한 애정이다. 이 애정은 유모차에 대한 모든 것으로 관심이 확대되고, 그것을 공부한 덕분이다. 하지만 그녀는 상냥한 판매원이 아니다. 고객에게 굽실거리지 않는다. 대접받기를 원하는 고객이라면 그녀는 최악이지만 아기 때문에 고생하는 엄마에겐 최상의 판매원이다. 이 차이가 그녀를 힘든 순간으로 몰아가지만 요즘 아기 엄마들의 고충과 현실을 살짝 보여준다. 그리고 왜 그녀가 이렇게 유모차에 집착하게 되었는지 조금씩 그 이유를 보여준다.

온두의 평온한 삶에 불쑥 치고 들어온 남자의 이름은 ‘름’이다. 성은 이 씨다. 붙이면 이름이다. 이 이름을 갖게 된 것에는 조금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 원래는 이룸으로 지으려고 했는데 말이다. 이름도 상당히 특이하지만 그의 과거는 더 특이하다. 아니 특이한 것을 넘어 섬뜩하다. 처음 온두를 만났을 때 기억을 잃고 있는 아버지를 위해 보드게임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와는 너무나도 다르다. 효자라는 단어가 먼저 떠오를 정도였다. 하지만 과거 이야기가 하나씩 나오고 너무나도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상처가 들춰지면서 그런 감정은 퇴색되었다. 왜 그가 트렁커가 되었는지 점점 공감하게 되었다.

두 트렁커의 이야기는 현재를 바탕으로 하지만 과거 속에서 미로를 헤매는 듯하다. 특히 온두의 경우는 과거의 기억이 사라졌다. 아니 다른 자아를 이용해 과거를 윤색한다. 그녀가 가진 기억들도 단편적으로 흘러나오는데 끔찍하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더 깊숙한 곳에 진짜 어둠이 숨겨져 있다. 그녀가 름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그런 아버지가 어디 있나 라고 되새길 때 전혀 생각하지 못한 이야기가 말이다. 그리고 그녀를 통해서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복지나 양극화나 육아 문제 등이 살짝 밖으로 드러난다. 

빠르고 가볍게 읽을 수 있다. 재미도 있다. 하지만 그 속에 담긴 두 트렁커의 이야기는 너무 무겁다. 우리가 흔히 뉴스를 보면서 어떻게 저런 일을 했을까 혹은 얼마나 힘들면 저렇게까지 했을까 하는 일들이 나온다. 하지만 작가는 이런 기억하고 싶지 않는 일들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되살리고 싶지 않은 기억을 되살리는 과정을 경쾌하고 과장된 표현들을 통해 재미있게 보여주면서 자연스럽게 공감하고 힘들지만 정면에서 마주할 것을 요구한다. 그 과정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은 역시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뒤끝은 즐겁고 따뜻하고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