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리라이팅 클래식 4
강신주 지음 / 그린비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리가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자유로워야 진리를 창조할 수 있다는 작가의 해석은 나에게 큰 충격이다. 여태 나에게 많은 의문을 주고 숙고의 대상이었던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는 문장이 새롭고 놀라운 모습으로 그 실체를 드러낸 것이다. 이 놀라운 글을 서문에 적어놓고 저자는 가장 중요한 개념인 소통(疏通)이라는 개념을 말한다. 그리고 타자라는 것과 초월적 가치에 대한 비평을 가하며 지금까지 내가 알던 장자에 대한 생각을 마구 흔들어 놓았다.  

 

그린비의 리라이팅 클래식을 두 번째로 읽는다. 지난 번 열하일기를 읽고 그 해석과 새로운 모습에 즐거워했는데 이번에도 역시 즐겁고 재미있었다. 아니 재미있었다기보다 새로운 모습을 접하면서 인식의 지평이 좀더 넓어졌다고 해야겠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노장철학이라는 표현에서 두 철학자를 같은 부류로 취급하는데 작가는 이 두 사상가가 완전히 다름을 우리에게 보여줬다. 국가주의자로써의 노자와 아나키즘의 장자로 구분한 것이다. 첫 서두에 이미 저자가 이번 책을 아나키즘적으로 해석하겠다고 하였는데 보는 내내 그 영향을 직접 간접적으로 느끼게 된다.  

 

소통과 더불어 중요하게 다루는 것은 차이다. 차이는 타자와 나의 사이와 인식과 삶의 문제로 발전하는데 그 해석을 보고 있으면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더불어 노자에 대한 호기심이 더욱 강해지고 장자에 대한 다른 저자들의 해석도 보고 싶게 만든다. 기존에 알고 있던 수많은 의미와 해석 등이 무너지고 새롭게 이해되고 깨닫게 되는 부분들이 많은데 나의 한계를 절실히 느끼게 된다. 그 한계를 알게 되지만 다른 저자들의 해석에 다시 고개를 끄덕이며 동조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은 있다. 그것은 내가 이 책을 완전히 소화하지 못했고, 노자와 장자에 대한 공부가 없었기 때문이다.  

 

 아나키즘적인 바탕에서 쓴 글이라 곳곳에 그 흔적이 넘쳐나고 그 반동으로 왜 사람들이 노자와 장자를 묶어 평가하였는지 조금은 알게 되었다. 아나키즘이 지닌 모습이 노자의 철학과 완전히 다르다고 저자는 평하고 나 자신도 동의하지만 유교적 전통에서 상대주의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두 철학이 어쩌면 유사하게 느껴졌을지도 모른다. 꿈에 대한 장자의 글들은 더욱 이런 생각을 강하게 만들어주지 않았나 생각한다. 물론 이 부분에 대한 저자의 해석을 보면 후대의 오류나 철학적 해석에 의해 만들어진 부분도 있다. 노장철학으로 묶는 것에 대한 반대와 차이를 저자는 보론에 보여주니 이를 참조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리라이팅 클래식에서 자주 접하는 철학자가 있다. 그는 들뢰즈다. 그의 개념을 이번에도 저자는 장자의 철학을 해석하는 하나의 도구로 사용한다. 노자나 장자 등과 같이 나에겐 잘 알지 못하는 철학자인 들뢰즈를 접할 때마다 항상 이 철학자의 책을 한 번 읽어야지 생각하지만 쉽게 손이 가질 않는다. 저자는 들뢰즈의 이론에서 노자와 장자의 차이를 말하는데 그 해석을 보면 완전히 다른 모습을 가진 두 철학자를 발견하게 된다. 수직적 철학과 수평적 철학으로 말이다. 그리고 장자 철학에서 핵심인 타자와의 소통은 그 해석을 볼 때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생각을 날려버리게 되고 허무주의 등으로 알려진 장자의 실천주의와 아나키즘적 면모를 발견한다.  

 

 지금 이 글을 쓰는 중에도 나의 머릿속은 회오리치고 있다. 소통이라는 개념과 타자라는 개념과 아나키즘 등등의 수많은 해석과 초월적 존재인 수많은 감정과 정의 등이 책 서문에서 저자가 만한 우리가 흔히 진리라고 말하는 것들이 우리를 얼마나 선입견에 휩싸이게 하는지 느끼게 한다. ‘잊어라! 그리고 연결하라!’는 문장에서 알게 되듯이 막힌 것을 터 버리고 새롭게 연결하라는 소통의 의미를 되새기며 기존 개념과 의미에 막히기보다 새롭게 이해하고 깨달아야겠다. 쉽지 않은 책이지만 이제 조금은 장자에 대한 윤곽을 잡게 되었다. 하지만 앞으로 갈 길은 더욱 멀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