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빨간 거짓말 - 카네기 메달 수상작 미래인 청소년 걸작선 10
제럴딘 머코크런 지음, 정회성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흔히 우리는 거짓말을 둘로 나눈다. 하나는 말 그대로 거짓말로 남에게 피해를 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피해를 주지 않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이것은 칸트의 철학으로 넘어가면 상당히 난해해지기 시작한다. 사실 이 부분은 나도 어려워하는 부분이니 그냥 넘어간다. 제목대로라면 엄청난 거짓말이 분명한데 어떤 것일까 호기심을 자극한다. 현대판 아라비안나이트란 광고 글도 보이는데 한 거짓말쟁이가 풀어내는 수많은 이야기가 살짝 그런 분위기를 풍기기도 한다. 원제를 보면 “A Pack of Lies다. 출판사에서 확대해서 제목을 바꿨는데 시선을 끌기에는 좋지만 내용과는 조금 맞지 않는 것 같다.

에일사가 숙제를 위해 도서관에 갔다가 한 남자를 만난다. 그가 바로 놀라운 이야기꾼 MCC 버크셔다. 처음엔 그냥 노숙자거나 부랑자 정도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가 그녀에게 도움을 요청했을 때 그녀가 생각한 것은 엄마가 그를 뿌리치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의 제안에 엄마가 고개를 끄덕인다. 공짜로 일하고 가게까지 지키겠다고 하니 말이다. 아빠가 죽은 후 홀로 힘겹게 포비 골동품점을 지키던 그녀에게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는지 모른다. 이렇게 그는 골동품점 한 곳을 차지한다.

레딩에서 왔다는 버크셔는 특별히 하는 일이 없다. 앉아서 책 읽는 것이 그의 일이다.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직원이다. 그런데 그에게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고객이 관심이 보이는 골동품을 거기에 얽힌 멋진 이야기로 반드시 사게 만드는 것이다. 아니 정확히는 한 골동품만은 사지 않게 만들기 위해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모두 열한 개의 이야기를 풀어내는데 바로 이 이야기들이 하나의 단편소설로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재미있고, 모험담, 로맨스, 코미디, 추리물, 비극, 공포물 등의 다양한 장르를 담고 있다. 

소설의 구성은 사실 간단하다. 도입부와 반전을 담고 있는 마지막 장을 제외하면 늘 손님 한 분이 오고 하나의 골동품에 관심을 가진다. 이때 슬며시 나타난 버크셔 씨가 나타나 그것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내고, 그 사연에 빠진 고객이 물건을 사는 것이다. 이 단순한 구성이 지루할 것도 같은데 전혀 그런 느낌을 주지 않는 것은 역시 각각의 이야기 때문이다. 읽다보면 처음엔 비극이 또 나오겠구나 생각하는데 전혀 다른 분위기의 이야기가 나와 기대(?)를 저버린다. 이 때문에 손님이 찾아오면 나도 모르게 음!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기대하게 된다. 

다양한 장르를 다루고 있지만 하나의 흐름이 있다. 그것은 미신, 거짓말쟁이, 가치, 탐식, 명예와 신뢰, 불같은 성격, 허영, 배반, 자존심, 공포 등의 명사로 표현할 수 있는 것들이다. 하나의 재미있는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그 속에 교훈도 살짝 담고 있다. 다만 교묘하게 풀어내는 이야기에 홀려 놓치기 쉬울 뿐이다. 또 하나 책을 읽으면서 계속 버크셔의 정체에 의문을 달게 된다. 이미 광고 글에서 놀라운 결말에 대한 언질을 받았기에 더욱 그렇다. 그리고 감수성 예민한 소녀와 과부와 나이를 정확히 가늠할 수 없는 버크셔의 관계도 어떤 식으로 결말을 맞이할지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렇게 이 책은 호기심을 끝까지 품게 만들고, 다음 이야기를 기대하게 만드는 매력으로 가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