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붓다
한승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피플 붓다. 이 말이 처음엔 무슨 말인지 몰랐다. 억불산의 억불을 영역한 것이 바로 피플 붓다다. 억은 만민을 뜻하고, 억불은 만민을 구제하는 부처를 의미한다. 이 억불산에는 억불바위가 있다. 소설은 바로 장흥의 억불산을 소재로 두 노손을 등장시켜 우리의 삶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이 노손의 내역이 흔한 것이 아니다. 안 교장은 실제 낳은 아들이 없고, 주운 아들을 입양해서 키웠다. 그 아들이 바로 손자 상호의 아버지다. 상호의 엄마는 월남전 당시 참전한 군인과 베트남 여자 사이에 태어난 혼혈이다. 이 구성원들은 어쩌면 점점 많아지는 한국의 다문화 가족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야기를 이끌고 나가는 것은 상호와 안 교장이다. 상호가 고3으로 과도기를 넘어가는 과정으로 다루고 있다면 안 교장은 삶의 조그마한 깨달음을 실천하는 단계에 있다. 상호의 이야기가 혼혈이 겪는 어려움과 괴로움을 다루고, 안 교장은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산다. 그래서인지 두 노손의 이야기 분위기는 다르다. 손자 상호는 왕따 등의 괴롭힘으로 어두움이 드리워져 있는 반면 안 교장은 노년에 얻은 삶의 깨달음을 조용히 실천하면서 삶의 의미를 보여준다. 이 노손의 행동은 그래서 더욱 안정적이고 여유와 힘이 느껴진다.

상호의 생활을 따라가면 우리 교육계가 안고 있는 문제가 하나씩 드러난다. 상호의 저항이 약간은 비현실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다. 학교가 바라는 것이 아이들의 장래가 아닌 몇 명을 서울대 등에 보낼 것인가에 더 집중하고 있음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수험에 매달린 아이들의 정확한 적성을 파악한다는 것 자체가 어쩌면 무리일 것이다. 그런 상황에서 학교의 이름을 알릴 수 있는 방법만 찾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것은 예전부터 변함없이 내려온 일이다. 오히려 전보다 더 심해진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이 때문에 왕따나 은따 같은 문제는 그냥 묻혀버린다. 상호의 성장은 바로 이런 제도권(상호 표현으로는 프로쿠르테스의 침대다)을 거부하고 넘어서는 것이다. 

안 교장은 전직 교장이자 장학관이었다. 은퇴 후 아내의 죽음부터 염장이가 된다. 소설 속에 드러나는 그의 인품과 깨달음은 높다. 그가 염장이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제자들이 그만두길 바라고 조금씩 돈을 보태는 것도 바로 과거 때문이다. 한 싸움꾼의 이야기는 안 교장이 어떤 선생이었는지 잘 보여준다. 말과 행동을 가려하고, 학생을 배려하고, 나 자신보다 학생을 위해 노력했던 그의 과거 말이다. 물론 그의 행동 때문에 손자 상호가 놀림을 받지만 그는 인간은 결국 혼자 이겨내야 한다는 말로 용기를 북돋아준다. 당사자인 상호에겐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중간에 정성을 다해 시체를 닦는 모습을 보고 나름대로 깨달음은 얻는 장면은 아주 인상 깊다.

이 소설은 성장소설로도 구도소설로도 읽을 수 있다. 상호가 성장하는 모습에선 성장소설이, 안 교장의 행적을 따라가면 구도소설이 된다. 이 둘을 모두 잡으려는 것은 사실 큰 욕심일 수 있다. 그런데 작가는 양쪽 모두를 강하게 부각시키기보다 자연스럽게 섞으면서 무난하게 풀어내었다. 상호의 성장이나 마무리가 성장소설의 전형을 따라가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말이다. 어떻게 보면 좀더 고민해야 할 안 교장의 행동이 너무 자유롭다. 염장이 일이나 송미녀나 오순옥 선생과의 스캔들로 어느 정도 고민이나 행동에 제약이 있을 법한데 말이다. 

이 한 권의 소설은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다문화 가족, 교육문제, 왕따, 정체성, 성장하지 못하는 학문과 사람, 일방적인 맹신의 부작용, 노인문제 등이 담겨 있다. 조그마한 마을 무대로 하여 이렇게 많은 이야기를 다루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닐 텐데 아주 자연스럽게 풀어내고 있다. 가볍게 읽을 수 있지만 담겨 있는 이야기가 풍부해 머릿속에서 계속 이야기가 꿈틀거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