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수 - 에릭 드루커의 다른만화 시리즈 4
에릭 드루커 지음, 김한청 옮김 / 다른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화려한 수상 경력과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는 다른만화 시리즈 중 한 권이라 관심이 갔다. 사실 다른만화 시리즈를 읽으면서 한 번도 실망한 적이 없다. 아직 읽지 않은 <바시르와 왈츠를>를 언젠가 읽게 되겠지만 다른 사람들의 서평을 보면 더 확신이 생긴다. 가볍게 읽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 속에 담고 있는 내용이 결코 가볍지 않은 그래픽노블이기에 이번에도 역시 기대를 많이 했다. 그런데 책을 받아 넘겨보면서 당황했다. 단 하나의 지문도 대사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릴 때부터 읽어온 만화는 대부분이 일본만화의 영향을 받았거나 일본만화다. 그 덕분에 내용에 상관없이 그림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읽지 않는 작품들이 많다. 나중에 그 작품들의 가치를 깨닫고 몇 편 읽기는 했지만 알게 모르게 놓친 작품이 적지 않다. 아마 어릴 때 이 작품을 손에 들었다면 대충 넘겨보고 한 곳에 팽개쳐두었을 것이다. 그림체는 판화 같고, 대사는 없고, 뭔 이야기를 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금은 조금 다르다. 뭔 이야기인지 정확히 모르지만 이 색다르고 강렬한 그림과 그림으로 전하는 이야기에 빠져들었다.

판화 같다고 했는데 사실은 스크래치보드 작업으로 만들어졌다. 판에 잉크를 바른 뒤에 그것을 면도칼로 긁어내는 방식이다. 이 방식으로 그려낸 그림들이 판화 느낌을 준다. 의도된 작업이다. 이 작업을 통해 만나게 되는 이야기는 날카로우면서도 강렬한 인상을 준다. 한 컷 한 컷을 따로 두고 보아도 멋진 작품인데 이야기로 이어진 것을 보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그 강렬함을 조금은 잊게 된다. 그것은 그림 탓이 아니라 대사와 지문이 없다보니 상상력으로 작가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끝없이 유추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상상력이 어느 순간은 확신 부족으로 뭔 뜻인가 고민하게 만들지만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게 도와준다.

모두 세 편의 단편 만화가 실려 있다. <집>, , <대홍수>다. 별도의 작품들이지만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하나로 이어져 있는 것이 아닌가 하고 착각한다. 아마 비슷한 그림체와 남자 주인공의 행동과 모습이 그런 생각을 하게 만든 모양이다. 첫 작품 <집>은 한 소년이 아침 무렵 잠에서 깨어나 부모가 성교하는 모습을 보고, 창밖으로 한 노동자가 텔레비전 앞에서 조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힘없고 지처보이는 노동자가 방송 시작과 함께 잠에서 깨어 직장으로 향하는데 빠른 발걸음과 더불어 점점 활기차게 변한다. 이 과정을 속도감과 힘찬 동선으로 이어간다. 그런데 도착한 직장은 폐쇄되었다. 이후 그는 처진 어깨를 가지고 집에 온다. 집은 퇴거명령이 떨어진 상태다. 작품 해설에는 직장을 잃은 사람이 집까지 잃게 된다는 것으로 풀어내는데 동의한다. 노숙과 부랑자가 단순히 개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 경제적 문제란 점도 역시 마찬가지다. 그리고 곳곳에 상징과 의미를 심어 놓아 아는 만큼 보이게 만들었다. 

은 사실 <집>과 이어진 이야기로 착각하고 읽었다. 지하철로 들어간 한 남자의 기이한 환상과 경험이 다루어지는데 원시적이면서도 강렬하다. 음악과 춤이 이어지고, 자유를 만끽하고, 강한 열정으로 사랑을 나눈다. 그런데 이것이 꿈이다. 현실에서 그를 깨우는 것은 무섭게 생긴 개와 경찰이다. 쓸쓸하게 지하철을 벗어나는 그의 모습은 너무나도 무력하고 처량하다. <대홍수>는 지하철 밖으로 한 남자가 나오면서 시작한다. 제목에서 끊어지지 않았다면 의 그 남자로 생각했을 것이다. 어쩌면 작가는 이런 것도 염두에 두고 그린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이 남자가 그리는 그림 속에서 이 만화 속 유일한 단어들이 나온다. 한 에스키모 사냥꾼 이야기다. 위에서 세는 빗물을 우산으로 막고 다른 그림을 그리는데 비오는 날 강한 바람에 우산과 함께 날려간 후에 발생한 모험이다. 마천루와 공장을 지난 후 도착한 곳은 놀이동산이다. 그곳에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데 한 곳에서 두 면에 걸쳐 아주 의미심장하고 함축적인 그림을 보여준다. 아트 슈피겔만의 <하워드 진의 만화 미국사>를 말한 그 대목이다. 이후 이어지는 시위장면과 대홍수는 또 다른 것들을 생각하게 만든다. 

미국의 뒤틀린 가치관과 뉴욕이라는 대도시에서의 소외라는 주제로 했다지만 나에겐 도시 빈민과 그들의 삶에 더 눈길이 간다. 뉴욕의 마천루와 부랑자나 좀도둑으로 변하는 그를 보면서 현실의 무거움과 무서움을 느낀다. 스크래치보드 작업으로 만들어진 그림과 다양한 장면 구성은 보면서 호흡을 조절하게 만들고, 한 면에 실린 그림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유추한다. 그것이 맞는지는 모르지만 말이다. 작가의 자전적인 이야기가 담겨 있다고 하는데 이 낯설음을 생각하면 그 명성과 어울리지 않는 것 같다. 하지만 그것이 현실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대하소설이니 마음의 눈이니 아름답다고 하는데 지금 이 순간 고개를 끄덕인다. 컷과 컷 사이에, 컷 그 자체에서 수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고, 충분히 아름답기 때문이다. 혹시 일본만화에 질렸다면 혹은 그림만으로 충분하다면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