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하성란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가 오랜만에 출간한 장편소설이자 내가 오랜만에 읽은 작가의 소설이다. 한때 그녀는 무수한 문학상을 수상하고 문학계 중심부에 위치한 듯했다. 한국문학에 잠시 눈을 뗀 사이 그녀의 이름은 기억 속 저편으로 잠시 숨어있었다. 집에 있는 몇 권의 소설에서 그녀의 이름을 발견하고는 하지만 이미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읽기도 버거웠다. 그런데 왜 이 소설에 눈이 갔을까? 그것은 이제 기억에도 희미한 오대양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는 소개 때문이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뉴스에 둔감하다. 그 당시 오대양 사건이 매스컴을 도배했지만 깊이 있는 정보를 쌓지는 않았다. 그 당시 세계 이곳 저곳에서 들려오는 끔찍하고 무시무시한 사건들이나 책에서 본 이야기에 너무 빠져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사건은 지존파 사건과 더불어 나의 기억 한 곳에 자리를 잡고 있다. 다른 사건들도 그 빈도나 정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제대로 몰랐던 오대양 사건을 어떤 식으로 파헤쳤을까 하는 호기심이 이 책으로 시선을 돌리게 했지만 결국 다루고 있는 것은 모티브일 뿐 그 사건이 아니다. 

“이 냄새다.”라는 조금은 자극적인 문장으로 시작한다. 화자인 나의 기억 속으로 들어가 자신의 출생부터 그 당시 신신양회의 분위기를 보여준다. 보통의 공장 분위기와 사뭇 다르다. 식당에서 일하는 여자들과 공장 노동자들과의 농지거리가 오고 가는 와중에 어머니의 존재는 우뚝 선 채로 모두를 압도한다. 나중에 어머니의 권위와 힘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깨닫지만 그녀는 과거와 현재 속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어떻게 신신양회를 비롯한 거대한 기업군을 거느리고 성장했는지, 또 왜 그렇게 몰락하게 되었는지 하고 말이다. 

소설의 구성은 조금 복잡하다. 모두 읽고 나면 그 구성이 특별한 것이 없지만 읽을 동안은 과거와 현재, 나와 다른 등장인물이 뒤섞이면서 조금 혼란을 가져온다. 나의 시점과 주변 이야기에서 갑자기 김준이라는 탤런트로 옮겨 가고 다시 최영주로 이어지면서 잠시의 방심도 허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김준에서 최영주로 이어지는 고리에서 김준의 비중이 점점 사라지는 부분은 조금 아쉽다. 조금은 급작스런 퇴장이라고 해야 하나? 아니면 정교하게 짜인 구성이라고 해야 하나? 약간은 의문이다. 특히 김준이 받은 A라는 편지는 소설의 제목이자 끝나는 순간까지 호기심을 유발한다. 그것이 무얼까? 하고 말이다.

과거 이야기에서 시작하지만 그 속에 미래 이야기도 같이 다루고 있다. 신신의 지배자들은 여자들이고, 이미 그녀들은 자유연애와 사회의 윤리나 도덕에서 조금은 자유로웠다. 하지만 그들의 존재는 남성중심의 사회에서 결코 용납될 수 없는 것이고, 어머니의 과도한 욕심은 너무 앞만 보고 달리면서 생기는 큰 문제를 낳게 한다. 여기서 작가는 모계사회에서도 안정과 평화만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뭐 이것은 나의 확대해석일 수 있지만 말이다. 그리고 시멘트로 대변되는 80년대 건설붐은 현재와 너무나 닮아 있다. 이것은 다시 기태영으로 대변되는 새로운 신신의 아들이 등장하면서 반복된다. 남자냐, 여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과도한 욕심과 탐욕이 문제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오대양 사건을 모티브로 한 신신의 집단 자살사건은 허구와 사실이 교차하는 와중에 정확한 답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렇게 악착스러웠고 자유로웠던 그녀들이 죽음을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그만큼 의외인 것이다. 하지만 왜 그녀들이 그 당시 하나의 도구로서 혹은 자유의지로 아이들을 낳고 그곳에서 살았는지 알려주는 대목에선 그 시절 혹은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남성 폭력, 가정 폭력 문제를 다시 한 번 되짚어 보게 만든다. 그리고 어떻게 그 사건들이 과거의 사건으로 이어졌고 현재까지 그 영향을 미쳤는지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