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의 정원
다치바나 다카시.사토 마사루 지음, 박연정 옮김 / 예문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이제는 너무나도 낯익은 다치바나 다카시와 외교관 출신으로 징역을 산 후 집필활동과 왕성한 독서와 집필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는 사토 마사루의 대담집이다. 이 둘은 엄청난 독서광이자 소장자다. 다치바나 다카시가 소장하고 있는 책이 7~8만 권 정도고, 사토 마사루도 만 5천 권 정도 가지고 있다. 이 둘의 만남은 이런 책 소장 이야기로 시작한다. 빌딩 하나를 책으로 채우고도 공간이 부족할 정도라니 대단하다. 이런 설명을 들으면 기가 죽기도 하지만 가슴 한 켠에선 부러움과 더불어 나도 그렇게 만들고 싶다는 의욕이 생긴다. 현실적으로 이런 공간과 책읽기가 불가능하지만 말이다.

책 소장 이야기를 넘어 둘은 ‘21세기를 살아가기 위한 교양서 100권’에 대해 말한다. 100권 부족하다고 말하면서 천 권이 더 쉽다고 하는데 나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인다. 만약 나에게 천 권을 소개해달라고 하면 무리지만 10권 만 뽑으라고 하면 아주 고민에 고민을 거듭할 것이다. 책을 읽다 보면 너무나도 좋은 책을 자주 만나기에 적게 뽑는 것이 오히려 더 힘들다. 열 배 이상의 차이가 나지만 여기서 조그마한 공감대를 형성한 후 두 독서광의 대화 속으로 빠져들었다.

모두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독서가 인류의 뇌를 진화시켰다는 장에서 진정한 교양은 해독제가 된다는 장으로 마무리한다. 그 사이에 지의 전체상이나 20세기에 대한 토론을 거쳐 가짜에 속지 않는 법을 끼워 넣어 그들의 방대한 지식의 세계로 나를 빠트린다. 그 깊이와 폭은 그들이 선택한 목록을 거치면서 더 분명해진다. 역사, 종교, 철학, 고전읽기, 신학, 현대정치, 사이비 과학, 마르크스주의 등을 단순히 훑고 지나가는 수준이 아니라 깊은 이해와 분석을 통해 자신의 것으로 소화했다. 이 지식들이 목록과 함께 나올 때 나의 낮은 이해와 지식이 조금 부끄러웠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들의 지식을 모두 습득하거나 이해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들이 보는 세계와 내가 보는 세계가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음을 예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두 사람의 대담은 그 차이를 넘어 나의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그대로 드러나게 만들었다. 특히 그들이 서재 책장에서 꺼낸 100권 중 읽은 책이 많지 않다는 것은 두 나라의 문화나 역사적 차이를 염두에 두더라도 나의 책읽기가 편중되어 있음을 알려준다. 

이 대담과 목록을 읽으면서 일본의 역사와 아직 번역되지 않은 책이 나올 때는 낯설음과 아쉬움을 느꼈다. 무신론자인 다치바나와 열렬한 기독교 신자인 사토의 신학 대담은 신의 수축이란 낯선 개념을 알게 하는 즐거움은 있지만 끝장 토론이 아닌 단순한 지식의 나열에 멈춰 이 대담의 한계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런 한계는 정치나 철학 등으로 옮겨 가서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지식을 맛볼 수는 있지만 그 깊은 곳까지 가기 위해서는 그들이 내놓은 목록과 대담 속에서 같이 다루어진 책을 읽는 수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그들이 뽑은 목록을 중심으로 이 책의 대담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과학에 대한 독서를 강조한 다치바나와 정보계통 일을 하여 그 부분에 강점이 있는 사토의 지식이 밖으로 드러날 때는 나만의 독서법과 지식을 쌓아가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지 않았거나 읽었지만 읽었다는 기억만 희미하게 남아 있는 책 목록을 보면서 너무나도 방대한 책의 세계를 다시 생각한다. 사놓고 읽지 않은 수많은 책들과 읽으면서 알게 된 작가들의 새 번역본들이나 출판물을 생각하면 구입을 멈출 수 없다. 최소한 다치바나가 말한 실전에 도움이 되는 독서기술 중 하나는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구입에 멈추고 읽기가 점점 뒤로 밀리는 현실을 생각하면 이들의 깊이 있고 체계적인 독서 지식은 부럽기 그지없다. 책읽기에 더 많은 노력과 몰입을 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