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 경성을 뒤흔든 사람들 - 의열단, 경성의 심장을 쏘다! 삼성언론재단총서
김동진 지음 / 서해문집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23년 하면 뭔가 떠오르는 사건이 있나? 일제 치하에서 벌어진 사건 중 나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연도는 분명히 아니다. 외우기를 잘 못하고 싫어하는 이유도 있지만 이 연도에 벌어진 특별한 사건을 역사시간에 혹은 다른 곳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다. 그러니 처음 이 연도를 보았을 때 아무 것도 연상되지 않았다. 그리고 부제로 나온 “의열단, 경성의 심장을 쏘다!”란 문장은 또 다른 낯설음을 준다. 그래도 역사를 좋아하고 좀 읽었다는 나의 지식이 그 바닥을 보여주는 순간이다.

세계일보 사회부 캡이었던 저자는 2006년 8.15기획특집 기사를 낸다. 후배 기자들과 함께 서울 시내 항일독립운동 유적지 보존과 관리 실태를 탐사보도 했다. 유적지들 중 많은 수가 지자체의 관리 소홀과 시민들의 무관심 속에 쓸쓸히 방치되고 있었다. 이 부분에서 나 자신도 부끄러움을 느낀다. 그리고 기획특집 가운데 1923년 경성을 뒤흔든 사나이 김상옥과 황옥에 대한 이야기를 묻어두기 아까웠다고 한다. 기획시리즈 후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가 자료를 찾고 수집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연재를 시작했다. 그렇게 하길 3년 만에 단행본으로 나왔다. 왜 이런 과정을 쓰냐고? 저자의 노력 덕분에 잊고 있거나 몰랐던 역사의 사실을 알게 되고 그들의 행동에 고마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사실 김상옥과 황옥이란 이름 너무 낯설다. 의열단과 김원봉이 낯익은 것에 비해 더 그렇다. 김상옥은 국사교과서에도 나온다지만 황옥은 그 이름조차 없다고 한다. 역사 속에서도 불평등이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아직 그가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이런 의문들을 뒤로 하고 잘 몰랐던 1923년 속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조국을 위해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내던진 두 독립운동가와 그들의 동지들을 만났다.

이야기는 종로경찰서 폭탄 투척 사건으로 시작한다. 이 대담한 행동은 일제 경찰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고 분노를 자아낸다. 누가 이런 대담한 행동을 했을까? 경찰들은 그 범인을 정확하게 추리하지 못한다. 그러다 김상옥이 몰래 잠입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그가 범인일까? 그것과 상관없이 그는 잡아야 할 큰 적이다. 여기부터 이야기는 그를 잡기 위해 일제 경찰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 그가 이 체포를 피하기 위해 어떤 활약을 펼쳤는지와 그가 다시 경성으로 돌아온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김상옥이 어떻게 자라고 독립운동에 매진하고 그가 어떤 존재인지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을 지나면 의열단 단원으로 그가 경성으로 온 이유를 설명하고, 그의 잠입이 들통한 후의 도피활동을 다룬다. 절체절명의 순간에 그가 보여주는 대담하고 멋진 활약은 한편의 액션 영화를 보는 것 같다. 쫓는 자와 것을 생각하게 한다. 단순히 그의 활약이 개인만의 것이 아쫓기는 자의 긴장감 속에 하나씩 드러나는 친일파와 항일파의 존재는 많은니라 조선의 독립을 바라던 수많은 인민의 것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의 죽음에 대한 안타까움은 영화로 만들어진다면 멋진 장면들로 가득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김상옥의 임무 실패와 함께 그해에 있었던 또 하나의 대담한 작전이 있다. 의열단의 폭탄 투척 사건이다. 이 사건은 결론적으로 실패했다. 하지만 저자는 실패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그 속에서 활약한 황옥에 중점을 둔다. 그는 일제 고등계 형사다. 이 직위는 친일파 중에서도 악질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속엔 숨겨진 사실이 있다. 경찰 속에서 그의 존재는 제5열이었던 것이다. 어쩔 수 없이 친일 경찰 역할을 하지만 독립운동에 대한 열망과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그의 도움으로 항일운동가가 많은 도움을 받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3.1 만세 운동으로 놀란 일제가 외형적 압박 정책을 바꿨지만 내부적으로 더 고도의 정치 술책을 펼치고 경찰 숫자를 더 늘렸다. 이 늘어난 경찰들은 더 많은 밀고자와 친일파를 거느리고 치안유지에 힘쓴다. 이런 상황에서 폭탄 투척으로 일제 요인들을 암살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충분한 자금도 없는 의열단임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저자는 황옥과 김시현을 중심에 두고, 어떻게 자금을 모으고, 고성능 폭탄을 만들고, 어떤 사람들이 그들을 도와주었는지 알려주고, 어떤 기지를 발휘하여 폭탄을 가지고 들어왔는지 보여준다. 이 과정 또한 감동적이고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아마도 이 두 사건이 실패로 끝났기에 낯설 것이다. 하지만 그들의 기개와 의지와 노력은 그 어떤 찬사를 보내도 부족하다. 일제 강점 초창기에 이미 많은 친일파와 밀고자 덕분에 실패한 것을 생각하면 그 이후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해방 후 김원봉이나 김시현 등의 다른 독립운동가들이 느낀 절망감과 허탈함과 분노는 과거완료형이 아니다. 과거를 반성하지 않고 그냥 덮어두려는 세력이 있는 한 현재진행형이다.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이나 인물의 형상에 아주 약간 아쉬움이 있지만 잊고 있던 역사와 인물들을 되살린 것으로 그 이상의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