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화를 그리는 화가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 지음, 김수진 옮김 / 시공사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현대 스페인 작가 중 가장 많이 읽은 작가가 아르투로 페레스-레베르테다. 이렇게 적고 보니 많은 스페인 작품을 읽은 것 같은데 사실 많지 않다. 그 유명한 <돈키호테>도 읽지 않았다. 이런 표현을 사용하게 된 이유는 스페인 문학이 많이 번역되지 않는 것도 있지만 시공사와 열린책들에서 나온 이 작가의 다른 책들을 재미있게 읽었기 때문이다. 어떤 책은 정신없이 읽었고, 어떤 책은 낯설음 속에서 헤매기도 했다. 그렇지만 늘 이 작가의 작품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한동안 번역되지 않아 약간의 아쉬움을 가졌는데 이렇게 출간되어 상당히 반가웠다.

개인적으로 이 작가의 진중한 작품보다 대중적인 소설을 더 좋아한다. <검의 대가>나 <남부의 여왕>을 가장 재미있게 읽었는데 그의 이름을 알린 <뒤마 클럽>도 역시 흥미롭게 읽었다. 처음에 책 소개를 읽으면서 기대한 것은 전쟁화를 그리는 화가를 죽이겠다고 찾아온 한 남자와의 대결이다. 이것을 액션 혹은 스릴러로 풀어내지 않을까 기대했다. 그런데 아니다. 대결은 사라지고, 전쟁과 삶과 인간과 예술 등에 긴 이야기를 한다. 그 순간 긴장감이 풀리면서 약간은 느슨한 기분으로 읽게 되었다.

아침마다 팔을 150번 저어 바다 저 멀리 헤엄치는 파울케스는 전직 사진작가다. 일반 사진이 아닌 전쟁터를 쫓아다니는 종군사진작가다. 그가 간 곳은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곳이다. 조그마한 실수로 자신의 목숨을 잃을 수 있는 곳이다. 그 현장에서 사랑하는 여인 올비도를 잃었고, 그 후 몇 년의 방황을 거친 후 전쟁화를 그리게 되었다. 전쟁화를 벽화로 그리는데 그 속엔 그가 종군사진작가로 돌아다니면서 마주한 삶과 죽음이 담겨있다. 아직은 미완성이지만 언젠가 완성한 후 그 집을 떠나려고 한다. 그런데 이런 그에게 한 남자가 찾아온다.

그는 파울케스가 유럽 포커스 상을 받게 한 크로아티아 국가군 소속이었던 마르코비츠다. 그가 파울케스를 찾아온 것은 그를 죽이기 위해서다. 죽이기 위해서 왔다면 빨리 죽이고 가면 될 텐데 서로 대화를 나눈다. 왜 죽이려는지 알려주고, 알고 싶어한다. 그리고 마르코비츠의 가족사로 이야기는 빠져들고, 현대사의 비극 중 한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자신이 찍힌 사진 때문에 자신의 아내와 아이가 살해당했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이 결론은 단순하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긴 시간에 걸쳐 자신과 삶과 역사 등을 통해 숙고한 결과물이다. 그렇지만 이 결과에 나 자신이 쉽게 동의하지는 않는다.

올비도. 젊고 아름답고 활기찬 그녀는 크로아티아에서 죽는다. 처음엔 어떻게 죽었는지 알려주지 않는다. 늘 죽음이 난무하는 곳이라 어딘가, 누군가의 실수 혹은 장난으로 죽은 것이 아닐까 추측했다. 하지만 그녀의 죽음은 그 이상의 숨겨진 의미가 있다. 이 사실을 알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도 이 소설의 재미 중 하나다. 그리고 드러나는 사실은 두 남자의 대화와 파울케스의 긴 생각 속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비록 그 답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하여도 말이다.

단순히 오락적인 재미만 생각한다면 이 소설은 많이 부족하다. 빠른 속도로 읽히지도 않고, 흥미로운 장면으로 긴장감을 고조시키지도 않는다. 간단한 구조로 하나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이 아니라 작가 자신의 생각과 관찰을 쉼 없이 풀어낸다. 특히 그가 그리는 전쟁화와 관련된 미술이나 예술이나 철학 등에 가서는 더욱 복잡해진다. 단순한 장면이나 묘사에서는 재미를 쉽게 느낄 수 있지만 조금만 더 나아가면 전체 윤곽을 잡기가 쉽지 않다. 

파울케스가 마주한 수많은 전쟁터의 풍경은 낯설고 잔인하고 참혹하다. 이성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자부심은 그 현장을 마주하는 순간 간단하게 사라진다. 그리고 그 순간을 포착하는 사진작가들의 행동은 냉철한 관찰자인 동시에 방관자다. 이들을 존경하면서 마음 한켠에 무정하다고 느끼는 것도 카메라 렌즈를 통해 사물을 보고 관찰하고 찍기 때문이다. 사고나 사건이 생겼을 때 그들은 사람의 마음으로 그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 렌즈를 통해 앞으로 대중들에게 드러날 것을 먼저 생각한다. 이 때문에 올비도가 미술 등을 말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지금 이 순간 이 소설이 힘겹게 읽혔지만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먼 훗날 다시 읽게 되면 좀더 깊이 있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