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8 제너시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7
버나드 베켓 지음, 김현우 옮김 / 내인생의책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분량이 많지 않은 소설이다. 하지만 그 속에 담고 있는 내용은 분량을 넘어섰다. 처음엔 가볍게 진도가 나갔지만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많은 것을 생각하고,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은 로봇 아트와 아담의 대화다. 전반부는 이 둘이 만나기까지의 과정을 다루는데 이 소설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후반부는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가’하는 철학적 질문에 집중한다. 이때부터 많은 생각을 하고, 기존에 가지고 있던 사고들이 하나씩 떠오르고 깨어진다. 

작가는 화자인 아낙시맨더의 학술원 시험이란 형식을 통해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모두 네 시간 정도의 시험인데 역사학도 아낙스의 의견이 주를 이룬다. 시험관은 질문을 하고, 이에 대해 답을 하는 형식이다. 그 첫 질문이 플라톤공화국의 아담에 대한 것이다. 바로 여기서 이 소설이 말하고 하는 것이 시작된다. 이름부터 의미심장하다. 이것은 또 플라톤 공화국이란 이름이나 다른 그리스 학자들의 이름들을 빌린 것이나 철학자, 기술자, 군인, 노동자 이렇게 네 개의 계급으로 구분한 것 등과 연관성이 있다. 

아담은 공화국의 일반적인 규칙에 따르지 않는다. 그가 살던 시대는 전쟁과 전염병 등으로 세계가 파멸의 길을 걸어갈 때다. 이때 플라톤이 현재의 뉴질랜드 같은 곳에 토목공학적인 바다 방벽을 설치하여 전염병이나 다른 지역의 사람들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이 과정은 조금도 주저함이 없고 파괴적이다. 즉 방벽을 넘어서는 그 어떤 사람이나 비행체 등을 거침없이 죽이고 파괴한다는 의미다. 이런 시기에 아담이 방벽 쪽으로 다가온 한 여자를 구한 것이나 자신의 동료를 살해한 행위는 엄청난 문제임에 틀림없다.

단순히 외부 소녀를 구했다고 그 지역이 멸망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아담이란 존재와 행위가 정치적으로 이용되면서 변한다. 법률에 따라 교수형에 처했다면 문제가 되지 않았을 텐데 전후 세대의 성장에 따른 사회 변혁을 두려워한 정치인들이 아담을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활용하려고 하면서 역풍을 맞는다. 여기까지도 사실 큰 문제는 아니다. 실제 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로봇 아트와의 대화가 시작되면서부터다. 그 대화의 시작은 로봇의 성장을 바란 철학자들의 욕망 때문이다.

인간 아담과 로봇 아트의 대화는 일차원적인 것에서 시작한다. 처음에 아담은 아트와의 대화를 거부한다. 지속적인 아트의 도발과 도전으로 이 둘은 대화와 토론을 시작한다. 이 대화 내용은 인간에 대한 것이다. 뇌, 관념, 생각, 의미, 감각 등의 다양한 주제를 놓고 대화가 오고 가는데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이야기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다. 대화를 따라가다 보면 자연스럽게 아트의 의견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그것은 인간이란 존재와 관념 등이 피상적이기 때문이다. 단순히 로봇이 프로그램에 의해 생각하는 것만으로 치부하기에 너무 뛰어나다. 여기서 많은 생각이 오고 가고 기존의 인식들이 하나씩 혹은 조금씩 깨어진다.

대화와 기록의 재현 등을 통해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지만 지루함은 없다. 교묘하게 연출하여 마지막 반전을 준비해 두었는데 후반으로 가면서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었다. 그것은 아트와 아담의 대화 속에 단서를 남겨 놓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반전의 일부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이다. 그리고 <2058 제너시스>란 제목의 의미도 깨닫게 되었다. 미래 묵시록이란 일부의 평에 대해 고개를 끄덕인다. 표지가 의미하는 바도 새롭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