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네디와 나
장폴 뒤부아 지음, 함유선 옮김 / 밝은세상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제목만 본다면 정치색이 가득하다. 하지만 전혀 정치와 상관없다. 물론 케네디와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케네디가 죽을 때 차고 있었던 시계와 관계있다. 그것이 비록 사실인지 아닌지 정확하지 않지만 말이다. 이 소설은 케네디와 나로 이어지는 과정을 다루면서 어느 날 전혀 글을 쓸 수 없게 된 한 소설가의 독백으로 시작한다. 권총을 샀다는 문장으로 시작하여 다시 글을 쓰게 되는 그 순간까지 이어진다. 그 속에서 만나게 되는 화자와 가족과 주변사람들의 삶은 풍자적이고 뒤틀려 있고 우스꽝스럽다. 

열 권의 책을 내었고 세 아이의 아버지인 마흔다섯 살의 사무엘은 어느 날 갑자기 글을 쓸 수 없었다. 책을 쓸 수 없으니 아내는 다시 언어치료사로 취직을 했고, 그 병원의 이비인후과 의사와 불륜을 저지른다. 아이들은 아버지에게 관심이 없고, 아버지는 아이들에게 애정이 사라졌다. 권태와 무력감이 그를 지배한다. 그러다 산 권총은 그의 기분을 순간적으로 좋게 만든다. 2년 동안 쓸 수 없었던 글을 쓰게 만들 정도는 아니다. 하지만 이때부터 그의 삶은 새로운 단계로 들어가게 된다. 그 첫 걸음이 바로 아내의 불륜상대에게 진찰을 받는 것이다.

불륜상대인 의사에게 진찰을 받으면서 그의 상상력은 멈추지 않는다. 기대와 빈정거림이 교차하고 모든 것을 말하고 싶은 욕망이 꿈틀거린다. 이런 그의 입장에서 이야기의 한 줄기가 진행된다면 그의 아내는 또 다른 한 줄기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부부가 서로 번갈아 가면서 이끌어 가는데 그 중심엔 언제나 사무엘이 있다. 그의 갑작스런 절필과 무관심은 아내로 하여금 일탈로 이어지게 만들고, 그 일탈은 그녀 자신의 바람이라기보다 상황이 만든 현실이다. 정부에게 실망하지만 어느 순간 다시 그에게 몸을 허락하고, 다시 멀리하는 상황은 남편과의 관계 속에서 만들어진다. 

처음 사무엘의 행동을 보면서 이렇게 뒤틀릴 수가 있나 생각했다. 어른으로 아버지로 참으면 될 텐데 하는 마음이 들었다. 하지만 그의 이빨을 둘러싸고 벌어진 사태를 보면서 왠지 모르게 그를 응원하게 되었다. 자신의 학력을 위해 아빠의 이를 치료한 의사를 두둔하는 딸이나 직장 때문에 비호하는 아내의 모습에서 가족이란 테두리가 없어져 보였기 때문이다. 그들이 걱정하는 것은 아빠나 남편의 고통이 아니라 자신들의 현재와 미래의 이익이다. 특히 권위로 무장하고 환자를 무시하는 의사를 볼 때 공감대는 더욱 높아진다. 

이 불안하고 무관심한 부부가 공감대를 형성하는 순간은 바로 자신들의 세계가 침입 당했을 때다. 딸 사라의 남자 친구 한스가 그들에게 조언을 할 때 이 둘은 공통의 적이 생긴 것이다. 물론 이 공감대는 영원히 지속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사무엘이 갑자기 집착을 가지게 되는 케네디의 시계는 환멸과 허무와 무관심을 세계를 깨트리는 역할을 한다. 조롱과 빈정거림과 순간적인 폭력을 보여줬던 그가 젊은 시절의 활기와 용기를 다시 찾는데 큰 역할을 한다. 

사무엘이 총을 산 것이나 아내가 추운 날씨에 수영을 한 것은 살아온 흔적을 지우려는 서투른 의지라는 작가의 말에서 이 부부가 느낀 삶의 현실을 깨닫게 된다. 따뜻하고 친밀하고 상호의존적인 가족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개인들이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인지 그들은 사람이 아닌 지위나 권위나 물건에 집착하는 지도 모른다. 마지막에 사무엘이 지하로 내려가서 안정을 찾는다. 이것은 외부의 시선과 관계 속에서 느낀 무력감이나 불안이 좁고 어둡고 안락한 환경의 지하와 집착하던 물건을 가지게 됨으로써 바뀌게 된다. 반대로 아내는 남편의 서재 속에서 갇혀 있던 감정을 해소하고 새롭게 나아갈 힘을 얻는다. 이 대조가 앞의 대립과 익숙함을 넘어 부부 사이를 새롭게 돌아보게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밤비 2010-04-05 1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