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탐 - 넘쳐도 되는 욕심
김경집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제목부터 책 욕심을 부채질한다. 부제를 보면 넘쳐도 되는 욕심이라고 한다. 점점 좁아지는 공간과 비어가는 지갑을 생각하면 순간 고개를 갸웃하지만 곧바로 자기위안의 말로 삼아버린다. 책 좋아하는 사람에게 책을 탐하는 욕망을 자제하라는 것은 얼마나 큰 고통인지 알기 때문이다. 저자가 책 읽기를 위해 차를 없앤 것에 비해 최근 나는 차를 몰고 출퇴근하는 기회가 늘었다. 덕분에 일주일에 한 권 정도 덜 읽게 되었다. 이런 작은 공감으로 기분 좋게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의 기획은 베스트셀러 대신 책꽂이에 꽂혀 있는 보석 같은 책을 찾아서 알리는 것이다. 너무 많은 책으로 질리게 하는 대신 하나의 이야기에 두 권의 책을 비교하면서 비슷하지만 다른 즐거움을 누리게 만들었다. 가능한 최근작을 골랐는데 이 부분을 안타까워했지만 절판된 책들이 많은 현실을 생각하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그리고 네 개의 장으로 나누어서 내가 읽었거나 가지고 있거나 읽고 싶게 만들면서 책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희망, 정의, 정체성, 창의적 생각이 저자가 잡은 네 주제다. 희망의 장에서 만난 책들은 상당히 가지고 있고, 몇 권은 읽은 것들이다. 특히 <나무를 심는 사람>에 대한 글에서 나의 감동과 같은 부분이 많아 공감대가 쉽게 형성되었다. 우연히 보게 된 애니가 나를 완전히 사로잡아서 시간도 공간도 잊게 만들었던 적이 있기 때문이다. 희망을 말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쉬운 삶을 산 사람보다 도전하고 노력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많다. <잠수복과 나비>는 지금까지 그냥 묵혀두고만 있었는데 작가에 대한 사연이 새삼 다른 감동으로 다가온다.

정의를 탐하는 책은 역사와 관련된 책들이 많다. 제목 때문에 읽지 않은 책이 다시 나를 유혹하고, 오래전에 아주 즐겁게 읽은 <닥터 노먼 베쑨>은 퇴색하는 기억을 되살려준다. 착한 경제에서 만나게 되는 새로운 사실은 다시 나의 현재를 돌아보게 만들고, 서양사 중심의 세계사에 대한 나의 불만을 살짝 눌러줄 책을 찾게 되어 기뻤다. 좋아하는 작가 밀란 쿤데라의 소설과 새롭게 주목하고 있는 하진의 작품에 대한 분석은 내가 몰랐던 새로운 사실과 또 다른 방향으로 소설 읽기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정체성을 다룬 장에선 이전에 읽었지만 그 재미를 누리지 못한 책을 다시 끄집어내어 읽고 싶게 만든다. 나의 취향과 독서법에 맞지 않아 지루하게 느껴졌거나 아직 어려서 그 재미를 몰랐던 책들이 아주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두 번이나 읽었지만 그 매력을 아직도 발견하지 못한 <호밀밭의 파수꾼>을 과연 다시 읽어야 하나? 고민하게 만들고, 동양철학 공부를 좀더 심도 있게 해야 할 것 같은 마음이 생긴다. 삶의 여유가 생기면 여기에 소개된 책들이 새롭고 더 많은 의미를 가지고 나에게 말을 걸 것 같은 느낌이다.

마지막 장은 개인적으로 가장 낯선 분야다. 가끔 과학이나 예술과 관련된 책을 읽지만 지루하고 힘들고 어렵다. 한때 가장 좋아했던 한국작가 고 이청준에 대한 글에선 그리움과 추억이 생각나고, 연속으로 읽으면서 그 어둠에 매몰되어 중단했던 고 김소진도 새롭게 다가왔다. 이런 기억보다 더 강렬하게 가슴에 와 닿은 것은 김승옥, 이문열, 조세희, 김성동 등에 대한 짧은 평이다. 안타깝고 아쉬운 현실이다. 그리고 <감응의 건축>을 읽으면서 저자가 받은 감동이 무주로 나의 마음이 향하게 만든다. 언제 시간 내어 한 번 다녀와야 할 것 같다. 

저자의 책에 대한 깊은 내공은 부럽다. 다양한 분야와 깊이 있는 분석과 이해는 앞으로 배워야 할 점이다. 그가 책꽂이 꽂힌 책에서 우연히 발견한 기쁨은 나 자신도 많이 누렸기에 동감한다. 그리고 나 자신이 건성으로 읽은 듯한 책을 마주할 때는 부끄러움을 느끼고, 사놓고 몇 년을 묵히고 있는 책을 만날 때는 올해는 꼭 읽어야지 하는 다짐을 하게 만든다. 책을 읽으면서 읽고 난 지금도 분명한 것 하나 있다. 그것은 사고 싶고 읽고 싶은 책들이 아주 많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집이 더 좁아지고 지갑은 더 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