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 철학 스케치 1 - 이야기로 만나는 교양의 세계
김선희 지음 / 풀빛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이야기로 만나는 교양의 세계란 표지가 보인다. 그 이야기가 동양철학이다. 학창시절 잠시 동양철학에 대해 배운 적이 있다. 비록 그것이 수박 겉핥기였다고 하여도 말이다. 심오하다거나 난해하다는 표현을 많이 사용했던 기억이 있다. 동양철학의 경우 체계적으로 공부한 적도 없고, 그 흐름에 대해 깊이 있는 생각을 한 적도 없다. 소설 등에서 단편적으로 많이 만났는데 그 표현들이 상당히 나를 끌어당겼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 문장들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어떤 시대였는지 알게 되었다. 잘못 인용되거나 가져다 붙인 것들이 머릿속을 스쳐지나간다.

저자는 교과서적인 철학적 개념이나 이론을 목적하지 않았다. 그녀가 관심을 둔 것은 ‘철학들이 문제를 발견하고 이해하고 자신의 언어로 바꾸고 실천하는 힘’(1권 15쪽)이다. 그리고 이야기는 연대순으로 이어진다. 중국 고대문명에서 시작하여 19세기 조선과 일본까지의 철학을 다룬다. 그 중심에 있는 철학은 유학이다. 어쩔 수 없다. 동아시아의 긴 역사 속에 유학보다 강한 힘을 발휘한 철학이 없기 때문이다. 불교나 도교를 비교 대상으로 놓을 수는 있지만 사회구조나 정치권력을 생각하면 유학이 더 비중이 높다.

동양철학이란 제목을 달고 있지만 중국철학이란 표현으로 바꿔도 큰 문제가 없을 것 같다. 물론 시기상으로 불교를 다룬다거나 조선과 일본의 철학을 논의하지만 그 비중은 크지 않다. 처음 읽으면서 이 부분이 사실 눈에 거슬렸다. 동양철학과 중국철학이 거의 동일선상에 놓여 있는 느낌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큰 의미에서 동양철학으로 본다거나 조선과 일본에 미친 영향을 생각하고 그 세부내용을 읽어가면서 그 빛은 점점 사그라졌다. 그리고 어떤 변천을 거쳤는지, 시대와 어떻게 소통하였는지, 그 용어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념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등을 돌아보게 되었다.

모두 6부 18장을 이루어져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철학이 어떻게 변했는지 보여준다. 학창시절 단순히 외우기만 했던 이름이나 의미를 하나씩 풀어내면서 철학의 세계로 이끈다. 피상적이거나 덧씌워져 있던 허상을 하나씩 제거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했다. 시대의 변화와 유학과 불교와 도교 등이 어떤 길을 걸었고, 유학이 어떤 식으로 발전하게 되었는지 조금씩 감을 잡았다. 이기일원론이니 이기이원론이니 하는 이론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했는데 이번에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다. 아마 단순히 학설에 대한 설명만 읽었다면 피상적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유학의 발전과정을 통해 접근하면서 그 의미가 더 분명해진 것이다. 물론 이 한 권의 책으로 수천 년을 내려오면서 발전한 철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무리다. 하지만 그 흐름을 통해 전체적인 윤곽이나 의미를 깨닫게 되고, 동양철학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면 그것은 또 다른 문제다.

비교적 쉽게 풀어내었다. 비교적이란 단어를 사용한 것은 이야기처럼 썼다고 하지만 결코 쉬운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동양 철학사를 정리하는 과정에 저자의 의견이나 이해가 개념 정리나 본래의 의미를 넘어선 경우도 보인다. 동양 철학사를 통해 동양 역사를 다루니 이런 오해나 충돌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사실 이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일이다. <소피의 세계>만큼 재미있고 흥미롭게 읽었다. 아마도 이것은 지금까지 읽은 소설 등에서 단편적으로 얻은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기회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동양철학에서 말하는 개념들이 낯설고 어렵다면 고역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양철학에 관심이 있다면 이 책 읽기를 권하고 싶다. 과문해서 다른 좋은 책을 만나지 못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이 정도의 재미와 흥미와 난이도를 가진 책을 만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