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의 왕
차이나 미에빌 지음, 이창식 옮김 / 들녘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내용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읽은 소설이 아니다. 제목에서 느낀 분위기와 도시 판타지라는 것에 혹해 보았다. 책 뒤표지에 ‘피리 부는 사나이’라는 단어를 굳건하게 드러내었지만 읽는 도중에야 그것과 연관이 되어 있음을 알았다. 가끔 나의 이런 무신경과 허술한 선택적 단어에 스스로 놀라기도 하지만 기대한 정도의 소설은 아니었다. 아마 도시 판타지라는 단어에서 예전에 본 ‘네버웨어’와 비슷한 분위기를 생각한 것 같다.

어린 시절 읽은 동화에서 만난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는 참 멋졌다. 하나의 피리로 그 무시무시한 쥐떼를 해치우는 것을 보며 그 능력에 감탄하곤 했다. 하지만 아이들을 데리고 사라진 것엔 너무 심하다는 느낌이었다. 대단한 능력에 비해 그가 보여준 인간성은 그렇게 좋은 것이 아니었다. 여기서 힌트를 얻은 작가는 ‘쥐의 왕’이라는 소설을 자신의 정치색과 함께 판타지로 풀어내고 있다. 그 정치성은 처음부터 드러나지만 완전히 그 실체를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명확해진다. 

이야기는 단순하다. 사울이라는 청년이 있고, 집에 돌아온 그가 잠에서 깨어나니 아버지가 떨어져 죽어있었다. 경찰에 연행되어 범인으로 의심을 받고 여기서 쥐의 왕을 만난다. 그리고 밝혀지는 놀라운 출생의 비밀. 그것은 쥐와 사람의 피가 섞인 새로운 존재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 새로운 존재의 성립에 또 다른 비밀이 숨겨져 있고, 이것이 마지막 갈등과 새로운 세상을 풀어내는 원인이 된다. 

사울은 자신의 아버지를 죽인 존재가 7백 년 전 동화 속의 피리 부는 사나이임을 알게 되지만 그의 능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이 사나이에게 당한 왕들이 뭉쳐 물리치려고 하지만 그의 피리 소리에 그들은 너무 무력하게 넘어간다. 여기에 작가는 자신의 음악적 이해를 풀어놓은데 생소한 음악이기 때문인지 쉽게 이해하지는 못한다. 그냥 무협소설의 음공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좋으려나? 

이야기는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에서 파생되었지만 풀어나가는 방식이나 전개를 보면 굉장히 영상 중심이다. 피리 부는 사나이 피트와의 결투 장면이나 마지막 전투 장면 등에서 잔혹하면서도 처참한 광경을 만들어내면서 강한 인상을 심어주는데 사실 이 장면들이 소설의 백미다. 보는 내내 머릿속으로 그 장면을 영상으로 만들어 생각하고, 이전에 나온 영화의 한 장면들을 떠올리며 즐기는 자신을 발견한다. 속도감과 몰입도가 높아지는 순간이기도 하다.

후반으로 가면서 붙는 속도감과 재미는 대단하지만 역시 입체적인 느낌을 전체적으로 살려낸 것은 아니다. 인간이나 다른 존재들이 피트의 음악에 너무 쉽게 넘어가는 것이나 사울의 갈등이 조금 깊이가 부족하게 느껴지는 것이나 크롤리 형사의 역할이 뒤로 가면서 너무 없어지는 것 등이 그것이다. 또 영화 속 장면을 연상하게 하는 장면들로 자신만의 개성을 충분히 표현하지 못한 듯하다. 하지만 이런 낯익은 장면들과 익숙한 동화를 차용한 이야기가 새롭게 각색되고 재미난 것은 작가의 상상력이 뛰어난 때문이다. 비록 상상력을 완전한 모습으로 표현하기에 약간 부족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