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 세계 경제를 비추는 거울
도시마 이쓰오 지음, 김정환 옮김, 강호원 해제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황금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극히 일부분이다. 가까이는 돌반지 등 선물이나 장식용이고, 다른 하나는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금값이 개인 생활과 관련을 가지는 것은 바로 돌 반지나 금반지 등을 살 때다. 그 외는 사실 금에 대해서 별 관심이 없다. 뉴스에 금값이 올라 온스 당 1천불이 넘었다는 등의 소식이 있지만 전혀 감이 잡히지 않는다. 그냥 돌 반지 한 돈에 얼마다 하면 아! 많이 올랐네, 하고 금방 이해한다. 나를 비롯한 대부분의 사람에게 금은 그런 존재일 것이다.  

 

 얼마 전 만난 선배 한 분이 세금을 절약하고, 안전한 투자 목적으로 금괴를 산 주변 사람 이야기를 해줬다. 예전에 비해 금값이 거의 두 배 뛰었는데 농담 삼아 돈 버는 사람은 어떻게 해도 번다고 말했다. 물론 여기엔 결과론적인 상황이 담겨 있다. 금값이 떨어졌으면 아마 다른 자산을 샀다면 더 벌었을 텐데 라고 말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 간략한 이야기 속에 금 가치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그것은 금이 지닌 안정성과 희소성 등이다.  

 

 

 저자는 “황금을 세계 경제를 비추는 거울이다. 금시장에는 전 세계의 정치․경제의 동향이 응축되어 있어 그 안으로 들어가면 시장의 조류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4쪽)로 시작한다. 그리고 “서브프라임 문제 역시 금시장이 다른 시장보다 앞서서 민감하게 조류의 변화를 느낄 수 있었던 것이다.”(4쪽)라고 말한다. 이런 위기를 역사적 관점으로 보면 그 원점은 1971년 닉슨이 달러와 금의 고정환율로 고정하는 대신 변동환율 제도로 이행한 때라는 것이다. 이때부터 금을 통화의 자리에서 몰아낸 것이 통화 투기를 낳았고, 그것이 먼 원인이 되어 금융위기가 발생했다고 한다. 옵션과 스왑, 인덱스 투자나 증권화 상품 등의 낯선 파생금융상품은 금융위기의 주범으로 현재 말해지고 있다.  

 

 모두 6장으로 나누어 황금에 대해 설명한다. 현재 금 가격이 상승하게 된 배경을 미국발 금융위기와 금시장과의 관계나 금본위제의 안전성 등으로 설명한다. 이어서 2천년 역사를 가진 통화로서 금의 가치를 주목하고, 금시장을 뒤흔드는 금 메이저와 투기 자금의 실태를 보여준다. 간략하게 일본에서의 금 거래를 설명한 후 금시장을 움직이는 나라들을 설명한다. 현물거래 중심지인 런던, 100년 이상 금 생산량 1위였던 남아프리카공화국, 가장 많이 금을 소비하는 인도, 이제 세계최대 금 생산국이자 2위의 소비국인 중국, 금리를 낳지 않는 금을 장점으로 생각하는 중동국가 등으로 옮겨간다. 마지막 장에선 앞으로 벌어질 금시장을 변수들을 되짚어본다.  

 

 황금에 대한 많은 정보와 사실을 담고 있다. 금을 통해 세계경제의 한 면을 보게 된다. 유사 이래 채굴된 금의 양이 약 16만 톤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나 IMF 외환위기에 우리가 판 금의 양이 200톤이란 정보는 금의 희소성과 가치를 새롭게 돌아보게 만든다. 딜러들 사이에서 ‘소문으로 사고 뉴스로 판다’는 상투적인 수단은 유사시 금의 의미를 알려준다. 이것은 유사시에 금을 팔아 급한 상황을 넘기라는 뜻인데 한국과 러시아가 보유하고 있던 금을 팔아 경제위기를 넘긴 것과 동일선상에 있다.   

 

 현재 각국의 금 보유량과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게 되면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된다. 미국이 보유한 금 보유량은 2008년 9월 현재 8,134톤이고, 외환보유액 비중은 78.2%다. 이에 반해 중국은 600톤에 1%다. 이런 불균형은 미국과 중국이 공생관계를 앞으로도 어느 기간 동안 갈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물론 이후 중국은 금 보유량을 계속 늘이고 있다. 중국은 현재 위안화를 세계의 기축통화로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 단시간에 이것이 이루어질 수는 없다. 하지만 앞으로의 중국을 예측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전체적으로 금을 통해 세계 경제를 풀어본 책이다. 저자 자신의 경험과 통계 수치와 금 보유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금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알려준다. 우리들 대부분은 장식물이나 예물로서 황금을 바라본다. 원화나 달러나 위안화 등이 단순히 각국이 써준 차용증임을 생각할 때 실물자산이자 궁극의 통화인 금의 존재가치는 더욱 높아진다. 역시 경제는 배워야 할 것이 너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