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은 빛 ㅣ 매드 픽션 클럽
미우라 시온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검은 먹으로 검은 빛을 표현한 듯한 표지가 인상적이다. 빛 광(光)을 쓴 것이다. 빛은 원래 제목이기도 하다. 왜 작가는 빛이란 제목을 사용했을까? 빛이 주는 이미지를 역설적으로 표현한 것일까? 소설 마지막 장을 덮고 난 지금도 원제가 주는 빛의 이미지는 없다. 오히려 출판사가 붙인 검은 빛의 어둡고 칙칙하며 온몸을 감아 도는 무력함과 건조함과 섬뜩함만 가득하다.
미우라 시온과 처음으로 만났다. 그녀의 다른 작품들에 대한 평을 생각하면 이번 작품은 상당히 다르다. 아직 사놓고 읽지 않은 다른 소설들이 밝은 느낌을 주는데 이 소설은 표지부터 어둡다. 책 소개에 나온 글을 읽고 상당히 어둡다는 것을 알았지만 실제 느낌은 조금 다르다. 오히려 어둡고 검은 느낌보다 황량하고 건조하다. 번갈아 가면서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이들의 모습과 내면은 일상의 삶과 동떨어져 있다. 그들의 일상은 평범한 사람들을 모방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고, 동시에 무시하면서 그들의 내면은 점점 메말라간다.
좋아하던 미카와의 섹스를 기대하던 중학생 노부유키가 첫 번째 중심인물이다. 그의 곁엔 아버지에게 늘 구타당하던 다스쿠가 있다. 이 세 명은 다스쿠의 아버지와 등대지기 영감을 제외하곤 유일한 섬의 생존자들이다. 섬사람들 대부분이 쓰나미에 실종되거나 죽었다. 이들이 섬을 떠나기 전날 밤 미카를 강간(?)하던 내지 사람이 노부유키에 의해 살해된다. 이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당사자 둘과 다스쿠다. 하지만 사람이 살지 못하는 섬을 벗어나 그들은 각자의 삶을 살아간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간다.
다음으로 노부유키의 아내가 이야기의 중심에 선다. 그녀는 한 남자와 바람을 핀다. 남편에게 불만이 특별하게 있는 것은 아니다. 딸이 있고, 그 아이를 사랑하지만 자신만의 벽을 쌓고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꺼려한다. 평온한 남편을 만나 무난한 결혼생활을 하지만 공허감은 채워지지 않는다. 남편을 사랑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실천이 그렇게 와 닿지 않는다. 그런데 불륜의 대상이 다스쿠다. 그녀의 이야기에선 그를 암시할 뿐 정확하게 표현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음으로 다스쿠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지면서 모든 사실이 밝혀진다.
다스쿠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어두워진다. 그의 삶보다 내면이, 그를 둘러싼 가정환경과 아버지의 폭력이 검은 빛을 품어낸다. 이미 노쇠한 아버지를 압도하는 힘을 가지고 있지만 무력하게 그 권위와 폭력 앞에 힘을 쓰지 못한다. 이런 그에게 노부유키가 미카를 위해 한 살인행위가 하나의 구원처럼 느껴진다. 그의 과거와 현재를 보여주면서 작가는 짙은 회색의 내면을 그려낸다. 다스쿠의 행동과 심리묘사를 통해 앞으로 벌어질 사건을 어느 정도 암시한다. 남의 약점을 쥐고 이를 이용해 부를 이룰 생각도, 간악한 마음으로 남을 조정할 생각도 그는 하지 않는다. 그가 바라는 것은 오직 하나 어린 시절 섬을 집어 삼켰던 쓰나미처럼 자신의 과거와 현재의 불행과 어둠을 모두 덮어줄 노부유키의 구원이다.
세 사람을 번갈아 중심에 세우면서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노부유키를 제외한 두 사람은 어린 시절 부친의 폭력을 경험하였고, 노부유키는 살인을 했다. 이 세 사람의 내면 묘사에 들어가면 작가는 정말 건조하고 황량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자신의 삶을 제대로 살기보다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삶을 연기한다. 아내의 불륜을 알지만 자신에게 쏟아지는 불만을 덜어낼 수 있다면 오히려 다행이라고 생각하거나 남편의 비밀을 알고 자신의 평온한 삶이나 미래를 위해 덮어둔 채 자신을 관리하는 그녀의 삶은 끔찍하고 엄청나게 이기적이다.
노부유키를 비롯한 등장인물들을 연결시켜주는 것은 살인의 비밀이다. 이 비밀이 완전히 바다 속에 가라앉았다고 생각하지만 결코 사라지지 않았다. “사람은 죽음으로써만 비밀로부터 도망칠 수 있다.”(349쪽)란 말처럼 노부유키와 미카 등이 살아있는 이상 결코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여기서 노부유키와 그의 아내의 반응이 엇갈린다. 일상으로 돌아왔지만 자신이 연기하는 삶을 벗어나고픈 마음이 있는 그와 이 연기를 좀더 지속하고 싶은 아내의 마음이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여기에 대해서 작가는 공백으로 남겨 놓았다. 표지의 이미지와 노부유키의 내면이 강하게 부딪히며 깊은 심연으로 나를 끌고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