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백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8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놀라운 작품이다. 고백이란 형식을 통해 한 사건을 둘러싼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다가갔다가 그 속에 담겨 있는 고백의 힘에 눌렸다. 작가의 처녀작이란 점도, 이 소설의 첫 장을 단편으로 낸 후 장편으로 바꿨다는 사실도 놀랍고 대단하다. 한 아이가 살해당했다는 사실에서 시작하여 그 관계자들의 내면을 이렇게 멋지게 파헤친 작품이 흔하지 않다. 특히 청소년 범죄인 경우에는 더욱 말이다.
시작은 최근 일본 문학 등에서 청소년 범죄의 문제점을 다룬 것과 비슷하다. 미혼모인 여선생이 자신의 네 살 된 딸이 학교 수영장에서 익사체로 발견된다. 그 후 종업식에 고별인사를 하면서 사연을 설명한다. 자신과 아이와 그 아이의 아버지에 대해 말하고, 왜 자신의 아이가 매주 수요일 학교로 와야 했는지, 그 아이의 죽음에 숨겨진 비밀이 있음을 말한다. 여러 번 일어났던 소년 범죄의 문제점도 부각시킨다. 그리고 자신의 반에 살인자들이 있다고 말한다. 실명을 밝히지는 않지만 반 아이들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수준이다. 보통의 소설이라면 여기서 끝났을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사랑하는 자식을 잃은 엄마의 마음을 복수란 칼날을 통해 잔인하게 표출한다.
1장 성직자가 제29회 소설추리 신인상을 수상한 작품이라면 뒤에 나오는 이야기는 새롭게 장편으로 개작하면서 덧붙여 진 것들이다. 이후 고백하는 사람들이 바뀐다. 다음으로 고백하는 사람은 담임이 흔들어 놓은 반의 그 후 상황과 새롭게 벌어진 사건들을 자신의 시선에서 이해하고 말한다. 그녀는 유일하게 이 소설에서 제3자 입장의 고백자다. 이어서 가해자 가족 중 한 명이 일기란 형식을 통해 살인사건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자기 주변 사항을 그려내고 있다.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로 자신을 변호하고, 자식에 대한 사랑이 가득한 엄마의 마음이 곳곳에 묻어난다.
이전까지가 피해자나 제3자 입장이라면 제4장부터는 가해자였던 아이들의 고백이 시작한다. 왜 그런 살인사건이 벌어졌는지 각자의 고백을 통해 설명한다. 여기서 만나게 되는 설명이 가해자의 입장을 대변했던 수많은 소설들과 비슷한 모습을 띤다. 청소년기에 자신들이 받았던 스트레스가 애정결핍과 그리움 등과 오해로 뒤범벅되면서 왜 그런 파국으로 치닫게 되었는지 보여준다. 이 이야기에서 만나게 되는 청소년의 모습은 첫 장에서 본 잔혹하고 법의 그늘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 아이들과 전혀 다르다. 충동적이고 득의양양하지만 결국 불안감과 엄마의 사랑을 갈구하는 나약한 존재로 나온다. 만약 작가가 여기서 이야기를 마무리했다면 아쉬웠겠지만 여운을 남겼을 것이다. 그 뒤에 숨겨놓은 반전이 나오면서 복수와 미스터리는 완성되고, 아쉬움도 강하게 전해준다.
고백이란 형식을 통해 사건의 다양한 시선을 만난다. 하지만 각자 자신의 입장에서 사건을 바라보고, 그것을 버릴 생각은 하지 않는다. 그러니 이 고백이 진실의 조각들만 보여줄 뿐이지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내지는 않는다. 그것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조각을 모으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또 피해자와 가해자 가족과 가해자 등을 모두 화자로 내세우면서 한 사건을 둘러싼 방사형의 관계자들 목소리를 잘 드러냈다. 덕분에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형사 처벌이 되지 않는 중학생 살인과 그 피해 가족과 가해자 가족의 입장뿐만 아니라 가해자들의 심리도 그려내면서 한 편의 멋진 종합선물 같은 재미를 준다. 올해 읽은 최고의 작품 중 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