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파라다이스
강지영 지음 / 씨네21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자그마한 크기다. 외형만 보면 다른 일본소설처럼 단숨에 읽을 수 있는 책처럼 보인다. 맞다. 단숨에 읽을 수 있다. 하지만 그 의미가 다르다. 작은 책에 큰 활자와 여백으로 단숨에 읽었던 일본소설과 달리 이 책은 활자의 크기도 작다. 그런데 단숨에 읽힌다. 재미 때문이다. 그 재미가 결코 유쾌하고 즐겁지 않다. 아니 어둡고 참혹하고 잔인하다. 소설 속 한 단편처럼 현실이 지옥이다. 그녀는 그 지옥을 잘 표현했다.  

 

 모두 열 편이다. 적은 편수가 아니다. 다른 단편집에서 그녀의 소설을 읽은 적이 있다. 하지만 수많은 작가들 중에서 그 이름을 꼭 기억할 정도는 아니었다. 기억 속에 희미했던 그 이름이 이 한 권의 단편집으로 완전히 뿌리를 내렸다. 잔인하고 섬뜩하면서 참혹하기도 한 이 소설에 나 자신도 모르게 빠져든 것이다. 이것은 장르문학을 떠나 그녀가 말했듯이 이야기의 뿌리가 그녀의 할머니에서 비롯한 덕분인지도 모른다.   

 

 이 단편집엔 환상과 지옥으로 가득하다. 환상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녀가 이야기를 풀어내기 위해 판타지나 스릴러나 공포 등을 소재를 사용했기 때문이고, 지옥으로 표현한 것은 그 풍경과 현장이 실제 지옥이라면 이런 모습이 아닐까 생각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사실 이 단편집을 읽으면서 장르별로 구분하려고 한 적도 있다. 하지만 끝까지 다 읽은 지금 그 분류가 큰 의미가 없을 것 같다. 그냥 작은 이야기라고 하면 될 것 같다.  

 

 첫 문을 여는 것은 사채를 빌려 쓴 아내와 이혼한 남자 이야기다. 두 남녀가 번갈아가면서 화자가 된다. 궁지에 몰린 여자가 콜라에 모기약을 타서 먹이는 장면과 마지막에 드러나는 놀라운 사실은 시선을 잡아끌기에 부족함이 없다. 하지만 이 놀랍고 참혹한 분위기는 벌집에 사는 사람들로 넘어가면서 희극과 비극이 교차한다. 여기서 잠시 분위기를 바꾼 다음 <안녕, 나디아>에서 잔혹하고 섬뜩한 이야기로 넘어간다. 이 단편집에서 가장 길고 중편 분량이다. 첫 이야기처럼 두 사람이 번갈아 가면서 이야기를 하는데 각각 다른 시선이 보여주는 상황이 놀랍고 무시무시하다. 백수와 연쇄살인범의 시선이 교차하면서 상상력을 자극하고 다음에 벌어질 일을 예상하게 만들어서 더욱 공포스럽다.  

 

 두 동생의 목에 탯줄을 감고 태어난 화자의 이야기는 마지막 몇 단어로 작가에게 농락당한 느낌을 받았다. 초등학교 시절 사건에서 시작하여 현실로 넘어온 자살이 빚어내는 괴이한 상황과 반전은 놀랍다. 샴쌍둥이의 이야기에선 하나의 심장이 의미하는 바와 강한 생존 욕구가 만들어낸 비극이 섬뜩하면서도 가슴을 아리게 만든다. 유일하게 죽음을 다루지 않는 책읽어주는 남자 이야기는 연애의 목적이 무엇인지 노골적이면서 극단적으로 보여주지만 과연 그 자체가 목적일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만든다.  

 

 표제작을 읽으면 현실을 살아간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알 수 있다. 삶의 힘겨움에 짓눌려 지하철에 몸을 던진 지하철 세일즈맨의 사연은 복이 없어도 이렇게 없나 하고 동정심을 자극한다. 제목 <굿바이 파라다이스>는 현실이자 역설이다. 지옥을 벗어난 현실과 다시 지옥일 수 있는 곳으로 나아가는 그의 모습에서 지금 나의 현실이 천국일 수도 지옥일 수도 있음을 생각한다. 가학성 클럽에서 벌어지는 장면들을 다룬 이야기에선 인간의 욕망이 어디까지 잔혹해질 수 있는지 묻고 싶다. 그리고 죽은 자들이 살아나서 자신이 사랑했던 사람들을 죽이는 현실에서 다시 죽을 수 있다는 것을 ‘생일 축하합니다’를 비틀어 만든 단어로 씁쓸하게 표현하고 있다.   

 

 단 한 편을 제외하고 모두 죽음을 다룬다. 죽이고, 죽임을 당하고, 현실을 말하고, 환상의 세계를 그려내고, 애잔한 마음이 들게 만들고, 그 섬뜩함에 놀라기도 한다. 하지만 그 기본은 죽음이다. 산 자에게 낯선 풍경이고 공포의 대상인 죽음이 이 단편집에 길게 자리 잡고 있다. 그래서 약간은 불편하다. 넘쳐나는 죽음과 잔혹함 때문에. 그렇지만 그 속에 담겨 있는 이야기가 힘을 발휘하면서 쉼 없이 다음 이야기로 달려가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