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폴링 엔젤 ㅣ 블랙펜 클럽 BLACK PEN CLUB 11
윌리엄 요르츠버그 지음, 최필원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예전에 친구와 영화로 본 적이 있다. 그 당시 마지막 장면을 보고 뭐야! 를 외쳤던 기억이 있다. 영화와 원작에 대한 정보 없이 다가갔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하지만 그 당시에 결말보다 더 강하게 다가온 것은 부두교와 악마숭배 등의 제사의식과 감독의 현란하고 암울한 영상미였다. 이미 십 수 년이 지났는데도 그 이미지 일부가 내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다. 이제 원작을 통해 영화의 이미지를 다시 떠올리고, 의문을 가졌던 것에 답을 찾게 되었다.
하드보일드와 오컬트 호러의 결합이란 표현, 정답이다. 이야기의 도입부는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하드보일드다. 탐정 해리 엔젤에게 한 변호사가 찾아오고 한 의뢰인에게 그를 소개한다. 의뢰인 사이퍼는 2차 대전 초기 큰 인기를 얻었던 가수 자니 페이버릿을 찾아달라고 한다. 그는 자니가 무명일 때 도움을 좀 주었고, 그가 사망할 경우 담보를 건 것을 몰수하는 조건으로 계약을 했다고 한다. 그 계약 내용은 당연히 비밀이다. 그리고 자니가 전쟁 중에 부상을 입고 입원한 병원을 찾아갔지만 병원 측의 교묘한 방해로 면회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의뢰 내용은 사실 확인이다.
단순하게 자니가 그 병원에서 어떻게 된 것인지 알려고 시작한 조사는 단순한 미끼다. 엔젤이 병원을 찾아가서 자니의 흔적을 서류상 좇아가지만 어디에도 그 실체가 없다. 그러니 그 중심에 있던 의사를 찾아간 것은 당연하다. 그를 통해 숨겨진 과거 사실 일부를 알게 된다. 다른 정보를 더 얻기 위해 모르핀 중독자인 그를 방에 가둔다. 그 상태로 몇 시간을 보낸 후 찾아가니 자살한 것처럼 보이면서 죽어있었다. 왜? 누가? 그를 죽인 것일까? 이것은 앞으로 이어질 살인의 시작일 뿐이다.
이 사건 이후 엔젤은 자니를 찾아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하루 일당 50불에 열흘 기간으로 500불을 선불로 받았다. 1959년 뉴욕을 배경으로 엔젤은 자니의 과거를 좇는다. 그에 대한 정보를 모으니 한때 약혼했던 여자와 악단이 나온다. 이제 과거 속에서 단서를 발견하고자 한다. 이들을 만나고, 뒤좇으면서 부두교의 의식을 보게 된다. 여기서 그의 숨겨진 비밀 한 가지를 발견한 것이다. 하지만 이 단서보다 이어지는 살인이 더 문제다. 의사처럼 그가 자니의 흔적을 뒤좇고, 하나의 단서를 찾을 때마다 살인이 벌어지는 것이다. 다음은 누굴까?
작가는 엔젤의 행동을 통해 하드보일드 형식을 보여준다면 그가 좇고 파헤치는 과정에 드러나는 살인과 의식을 통해 오컬트 분위기를 풍긴다. 이전에 본 영화 이미지와 앞부분에 나온 문장 덕분에 하나의 진실을 이미 알고 있었다. 하지만 작가가 곳곳에 흘려놓은 단서들을 무심하게 본 결과 가장 중요한 설정을 놓쳤다. 이 서평을 쓰기 위해 몇 쪽을 뒤적이니 그 흔적들이 곳곳에서 눈에 들어온다. 단순히 마술이니 트릭으로 생각했던 것들이 그 설정으로 모두 가능해졌다. 작가의 말처럼 소설이니 가능한 것이다. 그렇지만 섬세하면서도 짜임새 있는 구성과 50년대 말 뉴욕의 풍경을 멋지게 그려낸 것은 분명히 작가의 역량이다. 빠르고 쉴 새 없이 읽어 나가게 만들고, 마지막 결말에 허탈감과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이제 영화를 다시 본다면 완전히 새롭게 그 영화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