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연금술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센터 문학총서 2
호르헤 부카이 지음, 김수진 옮김 / 살림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많지 않은 분량에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맞다. 분량도 많지 않고 가볍게 읽었다. 하지만 그 가볍게 읽은 이야기 속에 담긴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다. 짧은 글들에 깊은 의미나 생각을 담아냈을 경우 하나의 이야기가 끝날 때마다 때로는 읽은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들여 생각에 잠기고, 작가가 하고자 하는 의미를 찾게 된다. 그리고 가슴속으로 하나씩 그 의미가 파고들고 강한 여운을 남긴다.  

 

 서문 역할을 하는 ‘세 가지 진실’을 제외하고 모두 스물여섯 편의 이야기가 있다. 각각의 분량이 다르다. 한 쪽으로 끝나는 것이 있는가 하면 짧은 단편소설 같은 이야기도 있다. 읽으면서 순간 섬뜩함을 느끼게 만들기도 하고, 고개를 끄덕이고, 그 의미를 찾기 위해 고민하기도 한다. 어느 순간은 정확한 의미를 파악 못해 이리저리 궁리를 하는 경우도 있다. 가끔은 작가가 이야기 속에 실어내는 의미에 손바닥을 딱 치기도 한다. 물론 살짝 미소를 지을 때도 있다.  

 

 첫 이야기 <찾는 자>부터 생각에 잠기게 한다. ‘찾는 자’로 불리던 남자가 묘지에 쓰여 있는 짧은 기간에 가슴 아파할 때 그 기간의 진실을 알려주는 순간 삶 속의 행복함을 다시 생각한다. 현명한 왕이 되는 과정 속에 느끼는 공포와 평온함을 다룬 <두려운 적>을 지나 <후안 신피에르나스>에 오면 마지막 대사에 섬뜩함을 느끼고, 소통부재의 상황이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 두렵다. 일상의 반복 속에서 숨겨진 집착을 벗어나 가볍게 고개를 돌리면 평안한 해결책이 보이는 <깨달음>, <이야기 속 이야기>는 대화 속에 그 의미를 담아내고, <탐욕>에선 자기기만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알 수 있다.  

 <오로지 사랑만을 위하여>와 <너>는 사랑의 의미를 생각하게 되고, 삶 속에서 우리가 지고 가는 무거움과 힘겨움이 느껴지는 <장애물>을 지나 최악의 상황에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의 결실을 말하는 <아이들만 있었다>을 만나고 현실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찰나>를 생각한다. 우물들의 경쟁과 은유를 통해 내면의 가치를 새롭게 보여주고, <주정뱅이의 논리>에서 웃음을 짓는다. <사소한 자전적 이야기>에선 타인의 시선에 흔들린 한 남자를 통해 주체성과 정체성을 생각하고, 분노의 옷자락 뒤에 숨은 슬픔을 이야기한다.  

 

 한 사람의 편지 속에 자신의 복잡한 감정과 현실을 드러내고, <꿈>을 통해 환상을 보여주고, <전사>의 예상하지 못한 신전 이야기는 바람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현대인이 시계의 노예가 된 상황을 <반란>으로 표현하고, 각 개인의 영혼 속에 숨겨진 가능성을 노래하고, 한 남자의 부고를 통해 인생을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제대로 된 길을 가고 있음을 느끼는 것이 행복이라고 말하면서 <숲 속 어느 곳>에 있었던 전설과 이야기를 통해 함께 한 모든 사람들의 소원이 다 이루어지게 하는 데 부족함이 없었다고 말한다.  

 

 이 글을 쓰면서 다시 이야기들을 생각해본다. 읽을 당시 느꼈던 감정이 살아나기도 하고, 잘 몰랐던 의미가 조금씩 윤곽이 잡히기도 한다. 사랑, 꿈, 명상, 행복 등을 노래하는 이 짧은 글 속에서 예전에 알았지만 잊고 있던 감정과 감성을 일깨우고, 다시 생각한다. 삭막해지고 삶이 공허해질 때 이런 책 한 권은 삶을 돌아보고 잔잔한 기쁨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