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문자 살인사건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무인도로부터 살의를 담아’이렇게 11문자가 이 소설의 제목이자 단서다. 원작의 제목도 11문자 살인인 것을 보면 번역에도 신경을 쓴 듯하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초기작이다. 1987년 작품이다. 최근 작품들에 비하면 조금 부족하다. 자신만의 특징을 아직 살려내지 못했다고 해야 하나? 군살 없고 간결한 진행은 보이지만 깊이가 느껴지지 않아 약간 아쉽다.  

 

 한 남자가 죽었다. 그는 누군가 자신을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 예감이 현실로 바뀌고 또 다른 한 사람이 죽는다. 처음 죽은 남자가 이 소설의 탐정 역할을 하는 여성 추리작가의 남자 애인이고, 다음에 죽은 인물이 그와 함께 일했던 여성 편집자다. 그 둘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왜 그들은 죽어야 했을까? 이 사건을 뒤쫓다 만나게 되는 사건이 있으니 1년 전 요트 여행을 함께 갔다는 점이다. 그 여행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한 남자 다케모토 유키히로가 죽었다. 근데 이상한 것은 그가 수영을 잘한다는 점이다. 그 사고의 뒷면에 숨겨져 있는 진실은 무엇일까? 그 사고 현장에 함께 있었던 사람들 중 나머지는 어떻게 될까?  

 

 

 추리소설을 읽다보면 알게 모르게 한 작가의 작품에서 다른 작가의 흔적을 발견하게 된다.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지만 그 흔적들을 희미하게 느끼게 된다. 이 소설도 그런 흔적들이 곳곳에 보이면서 비교적 쉽게 범인을 찾아내었다. 너무 단순하고 쉽게 드러나는 단서들이 범인을 지적하는데 편하게 만들었다. 동기도 범인도 쉽게 알았지만 그 사고에 대한 사실은 독자가 알 수 없다. 그것만은 작가의 전유물이니 마지막까지 숨겨져 있다. 헌데 그 마지막까지 숨겨둔 내막이 개운하지 못하다. 그래서 더 마음에 들지 않는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다른 소설처럼 빠르게 잘 읽힌다. 대단히 많은 작품을 쏟아내는 작가인데 불행인지 다행인지 아직 보지 못한 작품이 많다. 본 작품들도 들쑥날쑥한데 계속 그의 소설에 눈길이 가는 것을 보면 어쩔 수 없이 게이고 팬인 모양이다. 아직 많은 작품도, 그의 대표작도 읽지 않아(나오키 상 수상작은 제외) 기대치가 남아있지만 최근에 본 몇 작품은 조금 힘이 빠지게 한다.   

 

 추리소설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과연 살의라는 설정이 연쇄살인으로 이어질 정도라면 어느 정도일까 궁금하다. 그 속에 담긴 사랑이라는 이름의 집착과 악의는 쉽게 이해하기 힘들다. 푼돈 때문에 살인사건이 일어나는 현실도 있지만 대부분 우발적인 상황임을 생각하면 그 준비와 실행은 어떤 노력(?)이 필요한 것일까? 책을 읽다 아가사 크리스티의 흔적도 조금 보여 잠시 향수에 빠지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