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라스트 북
조란 지브코비치 지음, 유영희 옮김 / 끌림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책을 펼치는 순간 사람이 죽는다. 이 소설에서 다루어지는 더 라스트 북이 바로 그런 책이다. 이야기의 시작은 파피루스 서점에서 한 노인이 죽은 채로 발견되면서부터다. 외상 흔적도 없고, 누군가와 접촉한 적도 없다. 법의관은 심장마비로 판단하고 시체를 내어간다. 사건은 이렇게 쉽게 해결될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검시 결과를 보니 심장마비가 아니다. 갑자기 죽은 원인을 알 수 없다. 원인 불명의 사인이지만 단 한 건이라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다음 날 또 다른 시체가 서점에서 발견된다. 이제 사건은 심각해지기 시작한다.  

 

 이렇게 한 서점에서 세 사람이 연속적으로 죽는다. 그곳이 파피루스 서점이고, 서점의 주인 중 한 명인 베라와 형사 루키치의 만남이 이루어진 곳이다. 처음엔 단순 관계자였던 두 사람이 시체가 한 구씩 늘어나면서 가까워지고, 연인으로 발전한다. 형사와 시체가 반복적으로 발견된 서점 주인과의 사랑이라니 무서울 수도 있는 환경에 봄 향기를 불어넣어준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한 만남이 아니다. 알게 모르게 두 사람을 정보를 주고받고, 루키치 형사는 베라와 사랑을 나눈 후면 꼭 이상한 악몽을 꾼 후 잠에서 깨어난다. 왜 그럴까? 한두 번은 우연일 수 있지만 더 반복되면 의문이 생긴다.  

 

 시체가 계속 발견되지만 명확한 사인이 없다. 여기서 현대의 고전인 <장미의 이름>이 등장한다. 그 소설에서 책을 둘러싸고 살인사건이 발생한 것에 대한 오마주다. 하지만 시체에는 어떠한 독극물의 흔적이 없다. 혹시 지금은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다른 독물이 있는 것일까? 의심을 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 다른 시체가 발견되면서 국가안보국이 개입하게 되고 사건은 더욱 커지고 미궁으로 빠져들게 된다.  

 

 시체가 발견되는 장소가 서점이다 보니 서점과 고객을 둘러싼 재미난 일과 사람들이 나온다. 자기 집에서 책을 가져와 책장에 꽂아두는 사람이나 자신이 산 책을 들고 와 한 장소에서 읽는 사람이나 책꽃이의 책들을 마구 뒤섞어 놓는 사람 등이 나온다. 베라는 이들을 환자라고 부르고, 그녀의 동업자는 기인이라 부른다. 어떻게 불리던 상당히 특이한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 중 한 명이자 아인슈타인으로 불렸던 박사 더 라스트 북에 대한 단서를 흘린다. 이제 사건이 해결되는 것일까? 아니다. 작가는 더욱 미궁으로 사건을 밀어 넣고 독자를 혼란 속으로 빠트린다.  

 

 서점, 책, 형사라는 소재를 엮어 재미난 소설 한 편을 만들었다. 책 좋아하고 스릴러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누구나 관심을 가질 요소들이다. 거기다 사인도 제대로 모르고, 더 라스트 북이란 이상한 죽음의 책만 돌아다니고 있다. 뒤로 가면 이 책을 숭배하는 비밀 교단이 나와 혼란스럽게 만들고, 이제 갓 시작한 두 연인이 가는 찻집은 신비로운 분위기를 풍기면서 다가온다. 현실과 상상과 꿈이 만들어내는 몽환적인 장면들은 연쇄 죽음으로 더욱 깊숙이 감상 속으로 파고든다. 하지만 역시 마지막 반전에선 어느 정도는 예감했을 수 있지만 아쉬운 느낌이 있다. 이 부분은 역시 정밀한 기계적인 구성이나 기존 소설이나 설명 등에서 영향을 받은 바도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