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야 가의 전설 - 기담 수집가의 환상 노트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5
츠하라 야스미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처음 책 표지를 보고 자연스럽게 연상하게 된 것은 만화 <세상이 가르쳐 준 비밀>이다. 예전에 아주 재미있게 읽은 적이 있는 만화다. 오래 전이라 정확한 기억도 가물가물한데 그 만화가 생각난 것은 왜일까? 일러스트가 주는 분위기와 책에 대한 짧은 설명이 그 원인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귀신들과 그 속에 만나게 되는 사연들이 굉장히 따스하고 인상적이었는데 이 소설에서도 그런 것을 기대한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 소설은 그런 따스함보다 섬뜩하고 괴이하고 충격적이다.  

 

 여덟 편의 괴담이 실려 있다. 일상의 평범함에서 갑작스럽게 만나게 되는 환상적이고 기괴한 풍경은 낯선 느낌과 동시에 섬뜩함을 전해준다. 어느 정도 예상되는 장면이 이어지다 마지막에 만나게 되는 돌출적인 반전은 마지막 문장을 뚫어져라 쳐다보게 만든다. 그리고 이 기괴한 이야기를 만나고, 만들어가는 두 콤비의 활약은 다음을 기대하게 만들 정도로 매력적이다. 그렇다고 이 두 콤비가 그 기괴한 현상을 물리치거나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들은 그 현장에서 그 사건을 마주할 뿐이다.  

 

 두 콤비는 별명이 드라큘라 백작이라는 불리는 남자와 화자인 사루와타리다. 백작의 직업은 괴기소설을 쓰는 작가다. 반 백수인 사루와타리와 만난 것도 우연한 사고가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둘이 가까워진 것은 두부를 좋아하는 식성 때문이다. 단순히 좋아하는 단계를 넘어 맛있는 두부를 찾아 돌아다니는 마니아다. 이 둘의 이동에는 거의 대부분 사루와타리가 운전을 하고 가는데 그들이 처음으로 만난 기담도 바로 맛있는 두부집을 찾아가면서다.  

 

 단편들의 구성은 간단하다. 처음엔 사루와타리의 사연이 나온다. 그리고 다른 등장인물이 나타나서 기괴한 일상을 이야기하거나 상황을 연출한다. 이성의 세계에서 보면 전혀 말이 안되는 일들인데 이 소설 속에선 강한 흡입력을 발휘하면서 사람을 끌어당긴다. 일상에서 반전처럼 변하는 풍경은 처음 몇 편에선 제대로 적응이 되지 않았다. 갑작스런 변화에 놀라고 섬뜩함과 강한 여운을 느끼기 때문이다. 덕분에 마지막 문장은 여러 번 음미하게 된다.  

 

 터널을 통과하면서 만나게 되는 피투성이 얼굴의 여인이나 일본 전래의 전설을 배경으로 괴담으로 풀어내거나 무시무시한 스토커 여성을 등장시키거나 백작의 추리를 가볍게 뒤집는 괴물이 나와 현실의 벽을 뛰어넘는다. 그러다 도시괴담 같은 쥐 이야기가 이어지고 결계가 사라진 마을에서 만나게 되는 지옥과 제물에 통곡하고 벌레 이야기로 기이하고 환상적인 장면을 연출한 후 사루와타리가 이 기담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 일련의 과정이 시간 순으로 나오지는 않고 뒤섞여 있다. 하지만 처음과 마지막은 이야기의 시작과 끝을 보여주면서 두 사람의 인연과 기담이 현실로 나오게 원인을 알려준다.  

 

 재미나다. 문장은 간결하지 않다. 상황에 따라 길게 늘어진다. 한 호흡에 빨리 읽을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그런데 이런 문장이 작가가 만들어낸 상황과 묘하게 어울린다. 특히 마지막 문장이 짧을 경우엔 더욱 강한 여운을 남긴다. 그리고 이 소설을 읽으면서 사루와타리가 과연 몇 대의 차를 산 것인지 한 번 세어보고 싶다. 중고차들이 잠시 등장하고 사라지는데 그때마다 그 차들이 묘한 역할을 한다. 단순히 운송용인 경우도 있지만 그 자체로 기담을 만들기도 한다. 다른 이야기에는 어떤 차가 나올지 살짝 기대가 되기도 한다.  

 

 

 책 표지에서 말한 두 작가, 에드거 앨런 포와 교고쿠 나쓰히코의 작품들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정확하게 말할 수는 없다. 포의 단편 소설과 비슷한 제목의 두 이야기는 희미한 기억을 되살리거나 빨리 그 단편들을 읽고 싶게 만들고, 나쓰히코의 <백귀야행>을 연상하게 만드는 분위기는 잠시 현실을 잊게 만든다. 매력적인 여덟 편의 기이한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