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소소설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선희 옮김 / 바움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블랙유머를 담고 있다. 처음부터 이것을 예상하고 선택한 것이지만 읽다보니 자신도 모르게 빨려 들어갔다. 대부분 그의 추리소설만 읽다 이런 종류의 단편을 읽으니 예상하지 못한 재미를 발견했다고 해야 하나? 그의 문장이나 구성을 생각하면 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군살 없고 간결하면서 잘 구성된 작품들을 생각하면.  

 

 모두 13편의 단편이 담겨있다. 그 중 마음에 드는 작품도 있고, 조금은 아쉬운 작품도 있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재미있다는 것이다. 특이한 능력이나 상황을 만들고 뒤통수를 때리는 마지막 반전까지 깔끔한 느낌이다. 짧은 글들에 사람들의 욕망과 심리를 잘 녹여낸 수작들을 보면서 감탄을 하고, 새롭게 해석해 낸 동화에 놀람도 느꼈고, 기발한 발상에 즐거웠다. 

 

몇 개로 묶어 소제목을 달아도 무리가 없지 않을까 하는 단편들이 있다. 문학상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작가와 편집부의 동상이몽을 다룬 것들인데 ‘최종심사’, ‘불꽃놀이’, ‘과거의 사람’, ‘심사위원’ 등이 그렇다. 반면에 ‘거대유방 망상증후군’, ‘임포그라’, ‘시력 100.0’, ‘사랑가득 스프레이’ 등은 카툰 같은 재미와 반전이 있다. 만화 같은 상상력이 뒤따라 나오는 상황과 전개로 웃음을 주지만 흑소소설이란 느낌은 좀 덜하다.   

 

 나머지 5편 중 ‘신데렐라 백야행’은 동화를 새롭게 꾸며낸 작품인데 너무 현실적이고 계획적인 방법이 가슴에 와 닿고, ‘임계가족’에선 현재 애니메이션과 결합한 산업에 의해 끌려가는 가정을 씁쓸하게 느끼게 한다. ‘스토커 입문’에선 애인의 요청에 의해 스토커를 배우는 한 남자의 모습에 쓴 웃음을 짓고, ‘웃지 않는 남자’에선 마지막 문장 때문에 헛웃음이 나왔다. 그리고 ‘기적의 사진 한 장’은 조금 밋밋한 느낌을 준다.  

 

 대충 세 범주로 묶어 말했지만 문학상을 다룬 작품을 제외하면 어느 것을 읽어도 상관없다.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든 것은 ‘신데렐라 백야행’과 ‘임계가족’이다. 이 소설 제목과 가장 잘 어울리기 때문이다. 재미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카툰 같은 내용들이 유쾌하고, 편집부와 작가들의 뒷모습을 잠시 보는 소설도 좋았다. 전체적으로 마음에 드는 작품집이고, 괴소소설이나 독소소설이 어떤 모습을 띄고 있을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