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적의 양피지 - 캅베드
헤르메스 김 지음 / 살림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저자의 이름은 정확하게 김용규 씨다. 필명으로 헤르메스를 사용한 것은 헤르메스가 전령의 신이기에 그 전달자로서의 임무를 의미한다. 나의 기억이 정확하다면 형제가 함께 몇 권의 책을 낸 것으로 알고 있다. 지식소설이란 이름으로 나왔는데 상당한 호평을 받은 것으로 기억한다. 내가 읽은 것은 <다니>라는 침팬지가 등장하는 소설이다. 상당히 흥미진진하게 읽었는데 풍부한 지식들이 흘러넘쳤다. 나의 지식이 조금만 더 많았다면 더 재미있게 읽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사실 책을 읽기 전 저자의 본명을 몰랐다. 다만 필명만 알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자기계발서를 좋아하지 않지만 소설로 쓴 글이란 것과 좋은 평을 얻기에 다시 한 번 더 속아보자는 마음으로 읽었다. 그런데 생각보다 재미있었다. 소설이란 점도 있지만 한 사람의 성장과 성공과 아픔과 실패를 흥미롭게 다루기 때문이다. 한때 세계 최고의 선박왕이자 수많은 스캔들의 주인공이었던 오나시스가 그 주인공임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마지막에 가서는 기적의 양피지 캅베드가 현재 세계 제일의 부호에게 전달되는데 약간 무리한 설정일 수 있지만 자연스럽게 흐름이 이어진다. 아마도 그의 자선 행동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서 계속 말하는 단어는 ‘공경’이다. 그리고 소망과 욕망을 구분하여 이야기를 진행한다. “소망이란 인간의 참된 바람이오. 하지만 욕망은 헛된 바람이오.”(75쪽)란 말처럼 이 차이는 굉장히 중요하다. 오나시스의 소망이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되는 것이었는데 결국 실패한 것은 중간에 소망을 잊고 욕망을 쫓아갔기 때문이다. 물론 그는 캅베드의 가르침인 ‘공경’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엄청난 부를 이루고, 자신의 소망 중 일부를 얻고, 욕망의 많은 부분을 채운다. 하지만 그것은 헛된 바람일 뿐이다. 이 소설의 첫머리에 그가 울부짖고, 죽음을 향해 달린 것도 그 헛된 욕망 때문에 잃어버린 소중한 아들의 존재 때문이다.
공경. 어떻게 보면 그냥 한 단어다. 어른을 공경하란 말을 자라면서 많이 듣는다. 그런데 저자는 이 단어를 새롭게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한다. 또 공경과 존경을 구분하는데 공경에는 언제나 대가가 있음을 말하면서 이 둘의 차이를 분명히 한다. 이런 차이와 구분은 세부적인 실천항목으로 나누어진다. 공경의 방법과 대상을 양피지 속에 함축적이면서 간략하게 쓴 후 이 실천 사례를 오나시스의 삶 속에 녹여내었다. 그가 어려운 일이나 힘든 상황에 부딪힐 때 마다 캅베드가 지닌 마법의 힘으로 극복한다. 이때마다 저자는 캅베드의 문장들을 상황에 맞게 풀어내면서 독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한다.
책을 읽을 때나 읽고 난 지금이나 과연 오나시스의 이야기가 진짜인지 궁금하다. 사실 속에 얼마나 많은 허구를 섞어 놓았는지도 궁금하다. 물론 저자가 많은 허구를 집어넣었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한 인간의 성장과 실패와 성공을 보는 것은 자기계발서와 상관없이 충분히 흥미로운 일이다. 극적이고 성공을 향해 달린다면 그것은 더욱 흥미롭다. 군살 없이 빠르게 이야기가 진행되고, 역사 속에 이름난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등장한다면 그 관심과 재미는 더욱 늘어난다. 아마도 이 부분이 자기계발서를 좋아하지 않는 나로 하여금 재미있게 읽게 한 것 같다. 그리고 몇 가지는 지금 당장 삶에 적용해도 충분히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뭐 이 점은 다른 자기계발서도 마찬가지기는 하지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