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의 동서 미스터리 북스 39
프랜시스 아일즈 지음, 유영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독 초콜릿 사건>, <시행착오>의 작가 앤소니 버클리와 같은 작가다. 두 작품 모두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있다. 특히, <시행착오>는 지금 보아도 새로운 느낌을 주는 추리소설이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해설에서 이런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전에 어딘가에서 본 기억도 있지만 나의 기억이라는 것을 믿기에는 너무나도 부정확하다.  

 

 <살의>는 도서추리의 3대 걸작이니 하는 광고도 있지만 사실 이런 것의 출처는 대부분 불분명하고 과장된 부분이 많다. 추리소설의 역사적 의미를 생각한다면 이 작가의 작품은 완성도와 많은 의미를 가지겠지만 재미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세련된 맛이 조금 떨어진다. 요즘 워낙 많은 작가들이 범인의 심리를 극한으로 몰고 가고, 그를 쫓는 경찰들을 멋지게 묘사하는 것에 길들여져서 그렇다는 것이지 시대나 초창기라는 것을 생각하면 대단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범인이 누군지 알고 보는 추리소설을 보았을 때를 지금도 기억한다. 부정확한 나의 기억이지만 아마 김성종의 소설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범인의 행동과 심리를 한쪽에서 묘사하고, 다른 쪽에선 그를 쫓는 형사들을 묘사한 소설이었다. <제5열>이나 <제5의 사나이>가 아닌가 생각하는데 나중에 <자칼의 날>을 읽으면서 많은 영향을 받았구나! 하고 느낀 적이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은 김성종의 소설과는 다른 범인의 심리묘사에 중점을 두고 있다. 어떻게 해서 자신의 아내를 죽이게 되었는지와 다른 살인을 준비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과 심리를 차분하게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보통의 사람들은 누군가를 죽이고 싶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저놈은 반드시 죽이고 싶다는 열의 가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누군가를 죽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은 상상만으로 대리만족을 하거나 얼마 지나지 않아 잊어버린다. 하지만 이 소설의 경우 살의가 생기고, 그것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는지 보는 재미가 있다. 오랜 시간을 들여 준비를 하고, 실행을 하지만 살인의 유일한 목적이 없어지는 순간을 맞이하는 것이다. 감정의 노예가 되어버린 그가 자신의 열등감을 묘하게 비틀어 다른 쪽으로 상황을 몰고 간다. 현재 자신의 삶을 위험하게 만든 사람들에게 복수를 꿈꾸는 것이다.  

 

 살해하려는 마음이 살인으로 이어지고, 살인으로 얻고자한 것을 가지지 못하고, 살인으로 얻은 불안을 복수로 풀고자 하는 연속적인 상황이 잘 묘사되어 있다. 상황에 따라 변하는 감정의 기복과 불안이 이 소설의 핵심인데 약간 거친 맛은 있지만 재미있다. 아쉬운 점도 있는데 법정 심리 장면을 좀더 보강하였다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결말 부분도 역시.  

 

 동서DMB를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초판본의 번역 문장이 그대로 나와 문장에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 일본 소설의 경우는 덜하지만 서양 추리소설은 왠지 중역의 느낌을 항상 받는다. 어린 시절 중역 문장을 많이 읽었지만 최근 한국소설 덕분에 어색한 문장이 주는 느낌을 지워내기가 쉽지 않다. 요즘 번역된 소설의 경우 동서보다 못한 것도 많이 보았지만 그래도 좀더 신경을 써 문장을 가다듬어 주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