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헌의 명문가 -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위하여
조용헌 지음, 백종하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한국에 과연 명문가가 있는가? 하는 의문을 품고 있었다. 과거 속에서 찾아보면 명문가로 불릴 집안이 꽤 보이지만 현재를 둘러보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물론 현재 진행형으로 명문가를 꼽을 집안이 있을 것이다. 나의 과문함 때문에 모르는 경우가 더 많다. 하지만 나를 비롯한 대부분이 의문을 달고 살아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만큼 우리가 재벌이나 거부들에 대한 이야기를 언론을 통해 듣지만 좀처럼 그 집안을 칭송하지 않는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  

 저자는 이 책에서 모두 아홉 집을 말하고 있다. 이 중에서 나 자신이 이전부터 알고 존경했던 우당 이회영 선생의 집안도 포함되어 있다. 개인적으로 이 집안을 존경하는 것도 역사 서적이나 기록을 통해 그들이 흘린 피와 노력과 희생과 삶을 알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나머지 집안은 사실 잘 모른다. 조금씩 들어본 집안은 있지만 왜 명문인가 의문이 생기는 집안도 있다. 물론 이것은 가치관과 삶과 역사를 보는 시각의 차이 때문이기도 하다.  

 저자는 명문가라고 일컬을 수 있는 물증으로 고택을 꼽는다. 수십 칸의 고택을 현재까지 보유하고 잇는 집안에서 발견되는 몇 가지 특성들이 이차적 증거다. 이 특성들은 역사성, 도덕성, 인물, 재력, 명당 등이다. 이 조건을 모두 갖춘 집안도 있지만 이회영 집안처럼 자산을 모두 정리하여 독립운동에 쏟아 부은 경우는 예외다. 고택이 없지만 그들이 보여준 도덕성과 인물만으로도 충분히 그 누구와 견주어도 부족함이 없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면서 이 집안들의 과거를 보면서 나 자신을 반성하고 많은 것을 배운다. 과연 그들처럼 나도 행동할 수 있을까? 의문이 생긴다. 기득권을 포기하고 독립운동에 뛰어들거나 빈민을 위해 자신들의 재산을 풀어놓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만큼 쉽지 않은 행동이다. 오늘 날 1%의 부자들이 자신들의 부를 위해 직접세를 줄이고, 가난한 사람들을 개발이란 이름으로 좇아내는 현실을 생각하면 그들의 행동은 더욱 빛난다. 재단을 만들어 사회사업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알맹이를 들여다보면 재산을 증여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생색내기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쉽게 눈에 들어온다. 청년 실업자를 구제한다는 이름으로 신입사원의 연봉은 깍으면서 자신들의 연봉은 그대로 두는 이중적 작태도 빈번하다. 이런 현실에서 이 책에 실린 아홉 집은 분명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사실 저자가 고택을 명문가의 기본으로 삼으면서 자신의 출신을 말하고 있다. 명당에 대한 그의 이야기는 귀가 솔깃하게 만들고, 고택의 아름다운 모습은 한번쯤 가서 보고 싶은 마음이 절로 생긴다. 물론 고택만 가지고 명문가를 말하지 않는다. 앞에서 말한 이회영 선생 집안이나 간송 집안이나 인동 장씨 집안 같은 경우는 고택이 없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고택과 이차적 증거들을 함께 보여주면서 이야기를 풀어낸다. 가끔은 그 집안의 이야기보다 풍수 등의 이야기가 더 많은 경우도 있다. 역사를 비판적으로 보는 입장에선 결코 고운 시선으로 보기 힘든 집안도 있다. 그렇지만 어렵고 힘든 시기에 마을 사람들의 인심을 얻고, 전란을 무사히 넘기고, 현재도 고택을 보존하면서 조상의 유지를 받들고 실천하려는 모습을 보면 존경스럽다. 

책을 덮고 난 후 과연 이 책에 나온 아홉 집안 모두 명문가로 일컬을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였다고 하지만 과연 역사의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하는 의문도 있다. 그냥 저자가 보여준 이야기만 가지고 명문가로 치부하기엔 너무 자료가 부족하지 않나 생각한다. 그렇지만 이런 작업이 있어야 명문가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성립되고,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한 번 더 생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