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속의 덱스터 모중석 스릴러 클럽 17
제프 린제이 지음, 김효설 옮김 / 비채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덱스터를 만났다. 2권을 읽고 한참 시간이 지났다. 그 사이에 드라마로 만들어진 덱스터를 보아서인지 책 초반에 드라마의 이미지가 강하게 개입하였다. 덱스터의 성격이나 심리가 드라마의 장면들로 채워지고, 다른 등장인물들도 역시 영상 이미지로 조금씩 간섭을 받았다. 개인적으로 이런 영향력을 싫어한다. 하지만 원작과 다른 길을 가고 있는 드라마가 나름대로 재미있고, 매력적인 덱스터가 등장하니 그냥 지나갈 수 없다. 나중에 새롭게 이 둘을 구분하는 작업이 내 속에서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덱스터는 강한 캐럭터가 주는 재미가 반 이상을 차지한다. 살인마들을 죽이는 착한 연쇄살인범이란 설정과 인간의 감정을 연기하는 인조인간이란 설정은 누구나 한 번쯤은 생각한 캐릭터다. 누구나 생각했다고 그 캐릭터를 멋지고 매력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작가는 이 캐릭터를 일상 속으로 몰아넣으면서 재미난 상황들을 연출한다. 그리고 매회 강력한 연쇄살인범을 등장시켜 덱스터와 그 속에 들어있는 검은 승객을 긴장시키거나 흥분시킨다. 그런데 이번엔 조금 다르다. 어느 순간 검은 승객이 사라진다. 정말 최강의 적이 나타난 것이다.  

 

 그 최강의 적은 이전과 다른 시작에서부터 나온다. 그 존재를 뭐라고 규정해야 할까? 악마, 타락천사, 몰로크. 이름보다 중요한 것은 이 존재가 덱스터에게 새로운 감정을 심어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결혼을 앞두고 벌어지는 소소한 이야기들은 점점 변해가는 그의 모습을 잘 드러내준다. 특히 살인범을 앞에 두고 살인 준비를 하면서 애스터와 코디의 생활을 걱정하는 모습은 웃음을 자아낸다. 감정이 없는 인조인간이 어느 순간 심장을 받고 그 두근거림에 놀라는 모습이라니 정말 재미있다. 하지만 이런 재미도 자신의 가슴 속에 자리 잡은 검은 승객을 몰아낼 정도의 강적에 비하면 새발의 피다. 언제 덱스터가 공포에 놀라고 두려워 한 적이 있었던가? 오히려 강한 적을 만나면 긴장하고 흥분했지.   

 

 이번 이야기는 좀더 진일보한 덱스터를 다룬다. 강적이 등장한 이유도 있지만 자신과 같은 경험을 한 코디가 있다. 하루 종일 말도 제대로 하지 않는 코디가 검은 승객이 사라진 덱스터 대신 강적의 존재를 알아차리고, 덱스터가 어린 시절 걸어왔던 그 길을 그대로 따라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그는 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 하지만 그것이 쉽겠는가! 자신과 같은 또 다른 괴물의 성장을 도와야 하는 것과 함께 최강의 적을 찾아내어야 하니 덱스터는 평소보다 더 바쁘다. 거기에 리타의 결혼 준비까지 해야 하니 정신이 없다. 오죽하면 늘 지루함을 몰랐던 일상생활이 보통사람처럼 지겹게 느껴졌을까.  

 

 시리즈를 읽거나 드라마로 보면서 또 다른 마이애미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CSI:마이애미 시리즈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처음 덱스터 드라마를 보면서 너무 다른 영상과 풍경에 놀랐다. CSI가 화려하고 역동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에 덱스터는 조금 촌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어느 쪽이 더 현실적인가는 뒤로 하고 그 도시의 실체를 제대로 잡을 수 없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덱스터가 더 정확할 것 같기는 하다. 하지만 이것은 큰 의미가 없다. 실제 덱스터 같은 연쇄살인범이 있다면 나부터 그를 잡아라, 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감성적으론 동조하지만 이성적으로 결코 용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설 속 그는 너무나도 매력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