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개골의 서
로버트 실버버그 지음, 최내현 옮김 / 북스피어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소설을 읽기 전 작가의 말을 보고 왜 이런 글을 썼을까? 궁금하였다. 하지만 모두 읽은 지금 작가의 말에 대한 의문만 더 생겼다. 작가는 이 소설이 SF소설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휴고와 네뷸러 상 후보에 올라가기까지 했다. 과연 SF소설인가? 영생을 다루고 있지만 소설의 진행이나 소재를 보면 전혀 그런 느낌을 받지 않는다. 아마 작가에 대한 설명이나 장르 구분에 둔한 사람이라면 소위 말하는 주류문학이라고 해도 믿을 것이다. 그만큼 이 소설은 장르의 경계를 걷고 있다.  

 

 일라이, 티모시, 네드, 올리버. 이 네 명의 룸메이트들이 일라이가 발견한 고서 ‘두개골의 서’의 해석에 의해 영생을 찾기 위해 떠나는 이 소설이 상당히 특이하게 다가온다. 책의 전반부가 로드무비처럼 진행된다면 후반부는 오히려 도인들의 수련 같다. 이 양극단의 진행이 단순한 이야기의 흐름을 쫒아가기보다 각각의 화자들의 개인사와 현재와 미래에 대한 갈망을 담고 있기에 더욱 재미있게 느껴진다. 그리고 4명이 가서 두 명만 영생을 얻고, 2명은 죽는다는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각자가 추론하는 결과와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결과는 다르고, 그들이 의도했던 영생과 실제의 모습을 비교하는 재미도 준다. 과연 영생으로 불멸을 이루었을까?   

 

 구성은 각각의 화자가 현재의 진행 속에서 자신들의 과거를 이야기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성장배경도 살아온 과정도 성적 취향도 모두 다른 네 명의 남자가 불멸을 꿈꾸며 가는 길이 평탄하지만은 않다. 현재의 모습을 그려내기보다 과거의 삶에 끊임없이 집착하는 그들을 보며 그들에게 영생은 자신들의 과거를 부정하거나 또 다른 삶을 살기 위한 하나의 방편인지도 모르겠다. 이것에 대한 설명은 일라이가 영생을 얻고 나서 하고 싶어 하는 것들을 시간 단위로 나눈 장면에서 잘 드러난다. 이런 상상은 나도 이전에 하여 본 것이기에 많은 공감을 가진다. 하지만 가끔 불멸을 가진 사람들의 힘겨움을 마주하다보면 또 다른 하나의 불멸인 자식 놓기가 더 편한 것처럼 느껴진다.  

 

 소설이 출간된 1970년대의 시대상을 보여주기 때문인지 상당히 낯선 장면과 생각들이 나온다. 당시 히피처럼 삶을 살아가고, 성 혁명이 일어난 시기이기에 과도하다 싶을 정도의 묘사와 관계들은 지금 상당히 많이 풀어진 한국의 현실에서 보아도 일상적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 또 후반부 수도원에서 펼쳐지는 수련을 보면 왠지 모르게 무협소설의 연공장면을 연상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것들은 단지 이 소설의 외피일 뿐이다. 작가가 말하는 이야기는 네 청년들의 생각과 행동 속에 담겨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들이 마지막에 자신들의 가장 추악한 과거를 고백하는 장면과 결과는 어느 정도 예상한 부분도 있지만 위선으로 가득한, 혹은 강하게 절제된 삶의 한 형태들을 보여준다.  

 

 이 소설을 읽고 난 후 작가의 다른 작품에 대한 출판 기록을 찾아보았다. 현재 절판되지 않은 것은 ‘다잉 인사이더’가 유일하였다. 그의 단편이 sf모음집에 실려 있지만 왜 그를 몰랐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책 뒤에 나오는 해설처럼 이 소설을 통해 sf의 새로운 시도를 알게 되었고, 인식의 확장은 더욱 넓어졌다. 그리고 장르 구분에 대한 고민은 더욱 심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