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 1 - 보이지 않는 적, 판타스틱 픽션 블루 BLUE 2-1 판타스틱 픽션 블루 Blue 2
스테프니 메이어 지음, 홍성영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전 세계를 <트와일라잇> 열풍에 몰아넣은 스테프니 메이어의 신작 소설이다. 인간의 뇌에 침입한 외계 생명체란 설정과 하나의 몸, 두개의 영혼이란 설정에서 기존에 보거나 알고 있던 소설이나 만화가 생각난다. 인간의 몸을 지배하는 설정에선 <바디 스내처>가, 동거라는 점에선 일본만화 <기생수>가 연상되었다. 사실 <기생수>를 생각하면서 이 소설도 외계 생명체와 인간의 한 판 대결로 가득하지 않을까 미뤄 짐작했다. 하지만 이것은 강렬하고 파괴적인 장면을 좋아하는 단순한 나의 바람이었다.   

 

 이 소설 속 외계생명체 소울(Soul)은 흔히 생각하는 외계침입자와는 다른 존재다. 일반 행성에서 그 자체로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지만 그들은 대단히 평화적이다. 이런 존재가 지구를 침략하여 인간을 호스트로 삼는다는 것이 좀 이상한 설정이기는 하다. 인류의 역사를 생각하면 살인과 전쟁과 폭력으로 점철되어 있으니 어느 정도 인정할 부분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전 인류를 자신들이 살아갈 호스트로 삼을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을까? 그리고 인간이 느끼는 사랑이라 감정과 연민과 자비 등의 감정은 또 어떨까? 물론 이것은 자극적인 감정에 늘 노출되고, 그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의 관점일 뿐이다.   

 

 

 거의 대부분의 인류가 소울에게 영혼을 잠식당하고 있다. 소수의 인간만이 자신을 지키고 살아간다. 그들 중 한 명인 멜라니가 잡힌다. 그녀는 자신과 다른 이를 지키기 위해 자살을 시도하지만 소울의 놀라운 의학은 그녀를 살려내고, 그녀의 몸속으로 소울을 삽입한다. 그 소울은 방랑자로 불리고, 이미 일곱 번이나 다른 호스트에 산 경험이 있다. 멜라니의 정신을 침입해 다른 인간들 정보를 캐내길 바라지만 그녀는 오히려 그 몸속에서 색다른 경험을 한다. 멜라니의 기억과 정신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 것이다. 그녀의 사랑과 강한 정신력은 이미 여러 번 다른 호스트에서 삶을 경험한 방랑자를 혼란에 빠트리고 이전엔 전혀 느끼지 못한 감정에 빠지게 한다.   

 

 일반적인 외계생명체의 침입이란 설정이라면 치열한 전투나 음모나 계략이 가득할 것이다. 하지만 이 소설에선 그런 것이 없다. 소울들이 인간을 찾아내어 호스트로 삼는 것이 단순히 정복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소울이 삽입된 호스트들이 인간들에게 괴물 취급당하고 살해당하는 현실에서 엄청나게 평화적인 소울들에게 이것은 대단한 폭력이자 반사회적 행동이다. 인간들에게 절실한 생존의 문제가 그들에겐 지구의 평화문제나 살인이나 폭력으로 비추어진다. 재미난 점은 호스트에 삽입된 소울들이 호스트의 과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그의 성격이나 입맛이나 기억 등에서 완전히 독립된 존재가 아니라 순화된 새로운 존재로 태어났다고 해야 할 것이다.  

 

 

 작가의 다른 소설을 읽지 않아 성향을 잘 모른다. 하지만 이번 소설을 읽다보면 필력을 알 수 있다. 자극적인 초반 설정이지만 자극적인 이야기로 이어지지 않으면서도 흡입력을 유지한다. 소울과 인간의 대립과 갈등을 고조시켜 긴장감을 만들기보다 소울과 인간의 사랑과 이해를 바탕에 깔면서 이야기를 풀어낸다. 멜라니와 그녀의 연인 제러드와 소울 완다와 이안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소울 때문에 살 자리를 잃고 외딴 동굴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인간 무리의 모습을 보여준다. 갈등과 의심을 넘어 이해와 동조자가 되는 그 과정은 미묘한 인간관계와 사랑이야기로 흥미를 전혀 잃지 않는다.   

 

 이 소설은 전체적인 설정이나 마무리 등에서 분명히 아쉬움을 남긴다. 하지만 동시에 많은 생각 거리를 제공한다. 방랑자가 지나온 행성들의 에피소드는 낯설고 재미난 상상력이 돋보이고, 소울과 인간의 공생이란 점과 소울이 제거된 인간의 영혼은 정신과 영혼이란 철학적 문제를 생각하게 한다. 뇌와 정신의 관계를 기계적으로 해석하지 않지만 감정과 기억 등과 연결해서 풀어낸 부분은 상당히 재미있다. 그리고 자극적인 것에 중독된 우리의 현 사회를 생각하면 그녀의 약간은 밋밋한(?) 이야기와 사랑이 더 다가오는 것은 분명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