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딴섬 퍼즐 학생 아리스 시리즈
아리스가와 아리스 지음, 김선영 옮김 / 시공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전작에서도 느낀 것이지만 이 작가의 밀실에 대한 집착은 대단하다. 그리고 그 규모의 거대함은 놀라게 한다. 뭐 이런 설정 자체가 독창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은 분명하다. 전작이 산과 화산으로 고립된 공간이라면 이번엔 5일에 한 번 배가 들어오고, 외부와 교신을 하는 유일한 수단이 무선통신 밖에 없는 섬이다. 그러니 범인은 당연히 자신들과 함께 거주하는 인물이다. 가끔 다른 추리소설에서 외인이 있을 가능성을 말하면서 다른 가능성을 열어놓는 것을 생각하면 재미있는 설정에 진행이다.  

 

 소설은 두 가지로 진행된다. 이 두 가지가 별개의 것은 아니다. 하나는 연쇄살인사건이고, 다른 하나는 외딴섬에 존재하는 보물찾기와 연관된 퍼즐이다. 이 설정을 보는 순간 범인의 윤곽이 바로 드러났다. 작가는 범인을 특별한 인물로 내세워 독자에게 깜짝쇼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왜 그 혹은 그녀인지 추리하는 과정은 그냥 재미로 읽는 이에겐 쉽지 않다. 사건이 발생한 시간을 다시 들여다보고, 각각 개인들의 행동과 심리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이다. 작가가 마지막에 직관이 아닌 추리로 범인을 잡을 수 있다고 했는데 에가미 선배가 아리스가와에게 범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순간 아리스조차 쉽게 이해하지 못할 정도다. 추리소설을 자주 많이 읽다보니 구성과 진행으로 범인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는 쉬워도 이렇게 하나씩 분석하고 추리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스터리 동호회에 새로운 인물이 등장했다. 그녀는 이 소설의 무대를 제공하게 되는 마리아다. 아리스와 마리아라 상당히 재미있는 조합이다. 그녀의 할아버지는 퍼즐을 대단히 좋아한다. 그래서 자신의 유산도 퍼즐로 만들어서 숨겨놓았다. 당연히 그 유산을 찾으려고 노력한다. 시가 5억 엔의 다이아몬드다. 하지만 누구도 찾지 못한다. 다만 3년 전 마리아의 사촌오빠 히데토가 답을 찾았다고 말하고 사고로 죽는 사건이 발생한다. 그는 과연 답을 찾았을까? 과연 그의 죽은 사고일까? 그리고 새롭게 발생한 총살 사건은 왜 생겼고, 어떻게 그들은 죽었고, 그 밀실은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이 모든 의문이 생기지만 한 가지 소설 분위기에 이상한 점이 있다. 전작 '월광게임‘에서 미지의 살인마 제이슨을 두려워하면서 공포에 떨었던 것에 비해 이번 사람들은 너무 태평하다. 범인이 엽총을 가지고 있는데도 말이다. 작가는 다른 소설에서 자주 보는 공포심이나 서로간의 갈등을 강하게 그려내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의 일이 아닌 것처럼 평소처럼 지낸다. 이 상황은 읽는 내내 이해가 되지 않았다. 아니면 나 자신이 너무 기존의 추리소설 설정에 익숙하거나 당연하게 생각한 것일까?  

 

 이번 소설은 전작에 비해 더 부드럽게 진행된다. 사건이 발생한 내역도 더 쉽게 공감한다. 모아이 상을 이용한 퍼즐은 최근에 본 CSI 때문에 쉽게 이해가 되었다. 또 상당히 흥미로운 방식이다. 사실 연쇄살인사건이 발생하게 되면 연관성을 찾기 바쁘다. 쉽게 연관성이 드러나면 범인의 윤곽을 잡기 편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마지막 순간에 도달해야만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이 소설이 바로 그렇다. 마지막에 이르러야 그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에가미 선배를 볼 때면 탄복한다. 놀라운 추리력과 지식은 부럽다. 다음에 번역될 <쌍두의 악마>에선 그의 과거사가 나온다니 기대된다. 또 어떤 새로운 인물이 나와서 새롭게 활력을 불어넣어줄지도 궁금하다. 다만 이번 소설에 미스터리 동호회 회원 두 명이 이런 저런 사유로 빠진 것은 상당히 아쉽다. 에가미 선배가 범인을 지목하는 장면도 기존의 명탐정과 다르다. 사람을 모아놓고 범인은 너다!라고 말하기보다 다시 검토하고 그 이유를 묻는 장면은 인간적이면서 굉장히 인상적이다. 모두 5부작으로 설정하였다니 앞으로 세 권 더 남았다. 물론 마지막 한 권은 일본에서도 나오지 않았다. 작가의 발전과 새로운 이야기는 언제나 기다리는 즐거움과 그리움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