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착의 론도 ㅣ 오리하라 이치 도착 시리즈 1
오리하라 이치 지음, 권일영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대단한 작품이다. 서술 트릭을 다룬 소설 중 가장 마음에 든다. 서술 트릭을 다룬 소설은 많이 읽지 않았지만 이 소설처럼 복기를 하고, 의미를 되새기고, 다시 미궁 속으로 빠져든 작품은 아직 없다. 물론 이것은 나의 이해부족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단숨에 읽게 만들고, 작가가 만든 상황과 설정에 의문을 가지면서 빨려들게 하는 책은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도착(倒錯)의 론도라는 단어를 검색해본다. 도착이란 단어가 낯설다. 흔히 말하는 어디에 다다르다는 의미가 아니라 뒤바뀌어 거꾸로 됨을 뜻한다. 또 일본어로 도착과 도작(盜作)은 발음이 같다고 한다. 론도란 “주제가 같은 상태로 여러 번 되풀이되는 동안에 다른 가락이 여러 가지로 삽입되는 형식의 기악곡”이라고 나와 있다. 뒤바뀌어 거꾸로 된 것의 회선곡 정도로 간단히 정리한다면 정말 소설의 내용과 딱 맞는 제목이다. 그리고 도착과 도작의 동음이의어는 설정을 잘 나타내준다.
한 남자가 월간추리 3월호를 꺼낸다. 신인상 결과를 찾는다. <환상의 여인>으로 시라토리 쇼란 인물이 수상했다. 그리고 혼자 말한다. “혹시 이거 도작 아닌가? 장이 바뀌면서 제20회 월간추리 신인상 모집 광고가 나온다. 이어 야마모토 야스오의 수기가 실린다. 그가 어떻게 <환상의 여인>이란 제목을 정하고, 어떤 고역을 거쳐 한 편의 멋진 추리소설 <환상의 여인>을 쓰게 되는지 보여준다. 하지만 그가 쓴 소설은 친구가 워드 프로세스로 작업한 후 가지고 오던 중 전철에서 분실하고 만다.
분실된 원고를 나가시마 이치로가 발견한다. 처음엔 돌려주려고 했다. 커피숍에 앉아 원고를 잠시 보는 사이 그는 빠져들고 만다. 원고지 앞에 나와 있는 주소지로 가져다주려고 한다. 하지만 운명인지 우연의 연속인지 원고는 돌려주지 못하고, 작가에 대한 오해만 가지게 된다. 실직으로 생활이 곤궁한 그이기에 만약 이 소설로 신인상으로 수상한다면 받게 될 상금과 인세가 굉장히 유혹적으로 다가온다. 유혹은 잘못된 살인으로 이어지고, 작가 야마모토 야스오의 친구가 살해된다. 그리고 범인은 잘못 죽인 것을 알고 야스오마저 죽이려고 한다. 이렇게 하나의 사건이 마무리된다.
범인에 의해 중상을 당한 야스오는 어머니의 간호로 조금씩 회복하고, 친구가 살해당한 상황이 자신이 쓴 <환상의 여인> 속 설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범인을 짐작한다. 그리고 발표된 제20회 월간추리 신인상을 본 후 범인을 확신한다. 복수의 일념으로 빠른 회복을 한다. 월간추리를 찾아가 시라토리 쇼가 자신의 작품을 도작했다고 주장하지만 미친 사람 취급만 당할 뿐이다. 그는 자신이 누릴 수 있었던 수상의 열매를 달게 맛보고 있는 시라토리를 보면서 거대한 상실감과 복수의 감정만 거세어질 뿐이다. 과격하고 끈질긴 복수의 작업을 준비하고, 조금씩 실행에 옮긴다. 그리고 하나씩 드러나는 트릭들은 제목의 의미를 새삼 되새기게 된다.
서술 트릭을 다루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후반부에 가면 엘러리 퀸의 소설처럼 트릭을 눈치 챘는지? 묻기도 한다. 하지만 나의 우둔함인지, 작가의 치밀한 트릭 때문인지 알아차리지 못했다. 그리곤 작가는 하나씩 트릭을 설명해준다. 보고 고개를 끄덕이고, 갸웃거리고, 감탄하고, 다시 생각하고, 음미하고, 다시 감탄한다. 진상이 드러나고, 다시 복잡한 론도 속으로 독자를 밀어 넣는다. 마지막 문장은 이 소설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다시 앞으로 돌아가게 한다. 프롤로그에서 후기까지의 목차를 보면서 이 작품이 얼마나 세심하고 치밀하게 구성하였는지 깨닫게 된다. 재미, 속도, 치밀함을 모두 갖추고 있음에 감탄하고, 다음 도착 시리즈가 나오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