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을 찾아 돌아오다
기욤 뮈소 지음, 김남주 옮김 / 밝은세상 / 2008년 10월
평점 :
역시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된다. 한 번 잡으면 놓을 수 없을 정도로 속도감 있다. 간결하고 분명한 문장은 쉴 새 없이 활자를 따라가게 만든다. 장면이나 상황이 허술하거나 어색하지 않다. 그런데도 대단한 속도와 몰입을 가져오는 것을 보면 탁월한 재능이 아닐 수 없다. 이제 몇 권을 읽다보니 조금은 비슷한 느낌을 주지만 변함없이 읽게 만드는 매력이 곳곳에 놓여있다. 사랑, 운명, 과거, 현재 그리고 펼쳐질 미래를 이렇게 멋지고 빠르게 그려낼 작가가 과연 흔할까?, 묻고 싶다.
사랑을 찾아 돌아오다. 제목 그대로다. 15년 전 성공을 위해 자신을 사랑하던 연인과 친구에게 한 마디 말도 없이 에단은 떠난다. 5년 전 그토록 사랑했던 여인 셀린과 알 수 없는 두려움 때문에 헤어진다. 그리고 우연히 찾아온 유명 토크쇼 여진행자의 아이를 치료하면서 정신과의 총아로 떠오른다. 출간과 세미나와 연설과 방송출연으로 그 명성은 더욱 굳건해진다. 자신이 15년 전에 바랐던 성공이 자신의 앞에 놓인 것이다. 그런데 그 성공은 결코 행복을 가져주지 않는다. 자신 속에 점점 커져가는 공허함과 그리움과 허무함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다. 이런 그에게 변화의 순간이 온다.
도망치기, 맞서 싸우기, 이해하기 3부로 구성되어 있다. 도망치기는 자신의 현실과 진실한 마음에서 도망치면서 일어나는 일을 다룬다. 맞서 싸우기는 다시 하루를 살면서 전날 겪었던 실수를 막고, 사랑을 찾으려는 노력을 담고 있다. 마지막 이해하기는 왜 자신이 살해당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과 에단을 둘러싼 사람들의 마음을 풀어준다. 이 세 과정은 모두 마지막에 가서 에단의 죽음으로 마무리되는데 그 끝은 또 다른 시작을 의미한다. 이미 되풀이되는 하루에 대한 많은 소설이나 영화를 보았지만 이 소설처럼 급박하고 속도감 있지는 않다. 이것은 작가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의 소설을 모두 읽지는 않았지만 이번에도 비현실적인 이야기다. 죽은 에단이 다시 똑같은 하루를 맞이한다. 그 죽음은 카르마와 운명에 대한 도전이자 사실이다. 화려한 명성 뒤에 숨겨진 공허함과 잊혀지지 않는 사랑과 과거로부터 현실로 나타난 아이의 존재는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기회이자 삶에 대한 새로운 기회이다. 비록 그 결과가 하루에 멈춘다 할지라도 결코 포기하거나 멈출 수 없다. 잊고 있던 삶의 의욕과 새로운 사실들은 자신이 열심히 말했던 주장들의 실천이다. 자신의 재능이 다른 사람들에게는 효과를 발휘하지만 결코 자신에겐 적용되지 않는 부조리한 현실은 삶의 목표와 의욕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죽음을 경험하면서 그 소중함을 깨닫게 된다.
이 소설은 사랑 이야기다. 비현실적인 진행과 빠른 진행으로 속도감을 드러내지만 그 바탕은 에단의 사랑 이야기기다. 기욤 뮈소의 소설은 사랑을 다루는 방식이 낭만적이거나 아름답게 포장하지 않는다. 감정이나 심리 묘사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다. 장면을 나누고, 빠르게 전환하면서 독자가 감상에 빠지는 것을 막고 있다. 하지만 그 감정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다음 장면에서 더 크게 다가온다. 하나씩 하나씩 감정의 조각들을 깔아놓고 한꺼번에 그 감정들을 표출하는 것이다. 계산된 연출과 장면이지만 마지막엔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책 속 한 구절 “혹시 진정한 사랑은 열정이 가라앉은 후 비로소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379쪽)로 에단의 사랑 이야기를 대변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