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스터 앤드 커맨더 1 ㅣ 오브리-머투린 시리즈 1
패트릭 오브라이언 지음, 이원경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소설치고는 읽기 고약하다. 19세기 초 바다를 무대로 펼쳐지는 이야기가 단순히 모험소설이나 해양소설로만 읽혔다면 편안하게 읽을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초반부에 나오는 배와 운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곳곳에 나오는 외국어 등으로 쉽게 빠져들지 못하게 한다. 역자가 고백했듯이 수많은 지명과 작가와 언어들은 역자의 주로 만난 덕분에 쉽게 알 수 있었지만 가끔은 책 속도에 지장을 준 것도 사실이다. 지명에 관해서는 차라리 지도 한 장을 첨부한 후 필요한 독자가 찾아보게 만들었으면 어떨까 하는 아쉬움이 생긴다.
몇 년 전 영화로도 만들어졌다. 사실대로 말해서 그렇게 재미있지 않았다. 이 시리즈가 미완성본을 포함하여 21권까지 나왔다고 한다. 그 중 한 편을 영화로 만들었다. 오락영화로 보기엔 나쁘지 않았지만 소설에서 느낀 재미를 충분히 누리기엔 조금 부족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책 속에선 배의 움직임과 함포전의 이유와 독자에게 설명되어지는데 영화 속에선 단순히 보여질 뿐이다. 거대한 배가 항해하고 싸우는 장면이 멋지지만 그 자세한 내막을 모르니 그냥 화려함만 다가온다. 화려한 영상이 주는 장점이 책보다 못한 몇 되지 않는 경우가 아닌가 생각한다.
읽으면서 유럽의 18-9세기를 사실적으로 다가가게 되었다. 지금 생각하면 상당히 비인간적이고 비위생적이고 수많은 문제가 있다. 아직 어린 아이들이 전투에 참여하고, 매일 술을 마시고, 규율을 지키지 않는 사람은 태형에 처하고, 겨우 한 사람 누울 공간 밖에 주지 않는 등의 일이 있었다. 선원이나 함장이나 모두 배를 타고 나가서는 적국의 배를 공격하여 노략질할 생각만 가득하다. 책 후반부에 가면 그들이 우편선 호위임무로 얼마나 큰 낙담을 하는지 알 수 있다. 적의 상선 등을 공격한 후 전리품을 챙기면 배의 선원 모두에게 상금이 배당되니 당연하다. 그리고 그들은 뭍으로 들어와서는 그 돈을 흥청망청 사용한다. 술에 취해 난동을 부린다. 이것은 현대도 계속되고 있는 것 같다.
두 주인공 잭 오브리와 스티븐 머투린은 음악 연주장에서 처음 만난다. 첫 만남은 결코 좋은 인상을 남기지 못한다. 잭은 함장으로 승진하지 못하고 있었고, 스티븐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 첫 만남이 있던 날 잭은 소피 호의 함장으로 임명된다. 그가 기대한 배는 아니지만 대위로 오랫동안 머물렀던 그에겐 꿈같은 소식이다. 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가던 길에 다시 스티븐을 만난다. 이 두 번째 만남으로 두 사람은 서로에게 강한 호감을 가진다. 그리고 둘은 함장과 군의로 소피 호를 타고 바다를 누빈다. 밑바닥부터 배를 경험한 잭에겐 소피 호에 탄 선원들이 부족해 보인다. 고되고 반복적인 훈련과 수많은 전투의 승리로 점점 성장하는 그들이 그려진다. 이제 이야기는 바다를 배경으로 소피 호의 흥미진진한 항해로 이어진다.
읽을 당시는 잘 느끼지 못했지만 다 읽고 난 지금 생각보다 많은 것이 머릿속에서 맴돌고 있다. 두 주인공의 관계와 그 시대의 풍경과 끝없이 펼쳐진 바다, 그리고 탁월한 능력을 가졌지만 불행한 과거 때문에 죽은 제임스 딜런 대위. 이 글을 쓰는 지금은 더 복잡하게 회오리친다. 고역이었던 부분들이 사라지고, 장점들이 부각되고 있다. 거대한 함선전의 모습은 예전에 본 영화의 잔영으로 머릿속에서 재구성된다. 한 여인을 두고 벌어지는 질투와 자신의 복잡한 감정을 토로하는 모습은 전투의 막간에 등장하는 휴식처럼 느껴진다.
역자의 글을 읽으면서 한 가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작가는 수많은 라틴어를 비롯한 스페인어 등이나 인용되는 유명인의 이름에 대해서 단 하나의 주도 달지 않았다고 한다. 원서를 읽는다면 그냥 고민하다 지나갔을 것이다. 하지만 번역서의 장점이 이 책에선 드러난다. 읽기 고약하지만. 또 지금 우리가 바다가 아닌 우주를 꿈꾸듯이 그 시대는 바다를 꿈꾸었다는 사실이 너무 새롭게 다가왔다. 과연 이 책은 몇 권까지 번역될까? 아마 이변이 없는 한 21권까지 번역되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최대한 번역되길 바란다. 읽을 때보다 지금 더 다음 이야기가 궁금하기 때문이다. 나만 그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