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과의 맛
오현종 지음 / 문학동네 / 2008년 9월
평점 :
오현종의 소설로는 두 번째로 읽는다. 전작인 ‘본드걸 미미양의 모험’을 나름대로 재미있게 읽었기에 선택에 주저함이 없었다. 전작이 007을 패러디하면서 유쾌하고 즐겁게 풀어내었는데 이번 소설은 유쾌함보다 왠지 모르게 아픔과 슬픔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다른 특징을 더 꼽자고 한다면 동화를 비틀어 새롭게 해석한 내용들이다. 책을 읽으면서 옛 기억을 되살리는 작업도 같이 진행되었다. 원작에 대한 기억이 있어야 더 재미있게 소설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편집의 제목은 ‘사과의 맛’이다. 보통의 단편집이 단편 중 한 편을 표제작으로 내놓는 것과 달리 이 소설엔 사과의 맛이란 제목의 작품이 없다. 다만 단편들 속에 공통적으로 사과가 등장할 뿐이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과의 맛은 사과 자체에 있는 것도 아니고, 먹는 사람 입 안에 있는 것도 아니다. 그 맛은 사과와 먹는 사람 간의 접촉을 필요로 한다”는 보르헤스가 인용했던 버클리 주교의 말을 이해해야 한다. 쉽게 이해가 되지 않지만 소설에 담겨 있는 사람들 간의 접점을 보면 어느 정도는 이해하게 된다. 하지만 그 맛을 결코 달콤하지 않다.
9편의 단편이 실려 있다. ‘상추, 라푼젤’과 ‘헨젤과 그레텔의 집’과 ‘수족관 속에는 인어가’는 동화를 패러디하였고, ‘연금술의 밤’과 ‘연못 속에는 인어가’와 ‘창백한 푸른 점’은 신화와 중국 설화 등에서 이야기를 빌려왔다. 이어지는 다른 소설들도 역시 이런 흔적들이 조금씩 보이는데 나의 부족한 지식으론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는다. 하지만 작가가 마지막에 단서를 남겨두어서 조금 노력한다면 소재를 어디에서 얻은 것인지 파악할 수는 있다.
‘상추, 라푼젤’은 제목 그대로 라푼젤 동화에서 이야기를 빌려왔다. 하지만 그대로 빌려왔다면 표절일 것이다. 작가는 상황을 새롭게 만들고, 현대적으로 각색하면서 패러디의 묘미를 살려내었다. 그리고 아예 동화와 똑같은 제목인 ‘헨젤과 그레텔의 집’은 가족 유기라는 놀라운 내용을 담고 있다. 이야기 서두에 난파하는 배 이야기를 말하며 황폐화된 가정의 침몰을 서서히 그려내고 있는데 읽다보면 가슴이 아려온다. ‘수족관 속에는 인어가’에서 만난 인어는 ‘상추, 라푼젤’ 마지막 장면에서 왕자가 말한 그 인어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장애인을 둘러싼 우리의 시각과 인어의 순진함과 무지와 극악한 상술의 한 면을 보여주면서 동화 속 이야기를 비극적으로 재구성한다.
‘연금술의 밤’은 조금은 밋밋하게 느껴지는 소설이다. 판도라 상자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하지만 그 과정이 조금 밋밋하다. ‘창백한 푸른 점’은 미래의 달세계와 로봇을 다루면서 현대에 대한 비판을 가하고, 인간이 얼마나 이기적이고 잔인한 존재인지를 드러낸다. ‘열역학 제2법칙’에선 아버지의 돈을 위해 방안에 아버지를 가둔 아들이 벌이는 행동과 그 행동으로 빗어지는 일이 코믹하게 그려진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이란 말이 딱이다. ‘곡예사의 첫 사랑’은 줄타기에 뛰어난 재주가 있는 삼촌을 바라보는 소녀의 시선으로 그려지는데 제목처럼 첫 사랑의 지독한 여운은 삶의 경계를 뛰어넘게 만든다. 마지막 작품인 ‘닭과 달걀’은 흔히 보는 고부간의 갈등을 다루는데 일방적인 피해자인 며느리의 무시무시한 반전이 돋보인다.
이 소설집에 공통적인 요소가 있다. 바로 가족이다. 이 가족들을 보면 비정하다. 사랑보다 현실의 냉혹함이 더 강하다. 소위 말하는 콩가루 집안과도 같다. 단단한 결속은 어디에도 없다. 현대 가족들이 지닌 실상을 강하게 밀어붙여 환상을 깨부수고 있다. 평화롭고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가정의 모습이 아닌 부족하고 삐거덕거리는 가족을 내세우면서 그 허실을 집중 공략한 것이다. 요즘처럼 존속살인과 노부모에 대한 유기 뉴스가 많은 시점에 단순한 소설로만 읽히지 않는다. 그리고 더 섬뜩하고 아프게 느껴지는 것은 문장이 간결하고 이야기를 하는 듯한 문체이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