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 니체, 프로이트 철학의 끌림 - 20세기를 뒤흔든 3대 혁명적 사상가
강영계 지음 / 멘토프레스 / 2008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가 꼽은 20세기를 뒤흔든 3대 혁명적 사상가들은 나에게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모두 내가 읽다 중단한 책의 저자들이란 사실이다. 그리고 이들의 일생에 대해서 다른 경로를 통해 수많은 정보를 얻은 것은 또 다른 공통점이다. 그런 덕분인지 이 책의 몇 곳에선 낯익은 대목들이 눈에 들어온다. 하지만 제대로 공부하지 않은 덕분에 그들의 이론들이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온다.

 

마르크스, 니체, 프로이트. 이 셋 중 둘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20세기에 강한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다. 하지만 다른 한 명인 니체는 어떨까? 나의 짧은 학문적 지식 때문인지 모르지만 그를 넣은 것에 무조건 동의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그것은 이 책을 모두 읽은 지금도 변함없다. 그러나 니체에 대해 피상적으로 알고 몇 가지 지식을 얻은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 책은 조금 구성이 산만하다. 어떤 대목에선 같은 대목이 반복해서 나오고, 시간과 내용이 명확하게 다가오지 않는다. 연대기 순으로 서술한다고 느끼는 순간 앞 시대 이야기가 나오면서 전체적인 흐름을 쉽게 파악하는데 지장을 준다. 강한 집중력과 책에서 소개하는 이야기를 많이 이해한다면 다른 문제이겠지만 각 인물의 기록과 철학을 같이 다루다보니 쉽게 읽히지는 않는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한 곳에 시선을 집중하고, 그들을 이해하기 위한 시간을 가질 수밖에 없다. 뭐 이해는 다른 문제지만.

 

저자가 지적한 대목 중 하나는 자신이 의도하는 바가 아니겠지만 껄거럽고, 하나는 고개를 끄덕인다. 전자는 머리말에서 “전통사상을 깡그리 뒤집고 전혀 새로운 사상을 제시함으로써”라는 문장이다. 뒤에 저자가 다시 일반적인 말인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철학이나 이론이 없다고 한 것과 배치되기 때문이다. 비록 그들이 독창적인 사상과 철학 등으로 이전의 벽을 뛰어넘었다고 하여도 오해의 소지가 있는 문구임에는 틀림없다. 후자는 “철학의 과제가 세계를 해석하는 데 있지 않고 세계를 개혁하는 데 있다는 점”에서 셋의 생각이 같이한다고 말한 대목이다. 이 점을 생각하면 이 셋을 같은 반열에 놓고 평가하는 것도 분명히 가능하다. 해석과 이해를 넘어 개혁이란 실천적이고 능동적 행위를 지향했다는 점은 지금 생각해도 대단한 것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3대 혁명적 사상가에 동의할 지는 뒤로 하고, 이 책은 이 세 인물의 입문서나 개론서로 많은 도움을 줄 것 같다. 연대기 순으로 다루면서 그들의 삶과 철학의 변천을 함께 볼 수 있고, 각 장 마지막에 요약한 그들의 철학은 기억을 되살려보게 만든다. 하지만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비판적 책 읽기로 자신의 영역을 갈고 닦아야 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수많은 물음표를 달고 책과 대화를 해야만 더 많이 소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럼 나는 많이 소화했는가? 부끄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