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트 폴리오 1 - 피와 죽음을 부르는 책
제니퍼 리 카렐 지음, 박현주 옮김 / 시공사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셰익스피어의 미발표 육필 원고가 발견된다면 그 가치는 어느 정도일까? 아마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이 주제를 가지고 발표된 소설이 한 권 있었다. 얼마 전에 읽은 <바람과 그림자의 책>이다. 이번 소설을 읽으면서 <바람과 그림자의 책>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왜냐고? 두 책 모두 셰익스피어의 미발표 원고를 가정하고 좇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두 소설은 전개하는 방식이 다르다. 오히려 이 소설은 <다 빈치 코드>와 더 비슷하다. 그렇다면 재미는 어떨까? 아직 다 읽지 않았지만 장면을 이어가고 장면을 표현하는 능력에선 <다 빈치 코드>가 한 수 앞선다.

 

재미나 읽히는 속도만 놓고 보면 <다 빈치 코드>에 점수를 주겠지만 하나의 가설을 가지고 풀어내는 방대함과 독창성에선 이 소설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전작이 한 저작을 거의 표절하다시피 하면서 긴장감을 불어넣은 반면에 이번 소설은 방대한 셰익스피어의 가설을 연결하면서 이야기를 끌고 가기 때문이다. 물론 이렇게 판단하는 것이 두 작품이 가진 흥행이나 관심도에 비례하고 드러난 정보의 차이도 무시할 수 없다.

문장이나 전개 방식을 보면서 또 다른 한 편의 스릴러를 연상하게 된다. <4의 규칙>이다. 왠지 모르게 이 두 소설은 나로 하여금 소설 속으로 몰입하게 만들지 못하고 있다. 단순히 빠른 장면 전환이 없거나 영상 이미지가 조금 부족하다는 것으로 묻어두기엔 다른 작품들에 빠지는 과거와 현재를 생각하면 무리가 있다. 억지로 찾는다면 취향의 차이 정도랄까? 아니면 나의 때 이른 판단일까?

 

이 소설 한 편을 읽으면서 여러 권의 소설을 떠올렸다. 어떻게 보면 독창성이 떨어지는 것 같고, 어찌 보면 각 소설의 장점을 살리려고 한 노력이 엿보인다.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정체를 둘러싼 다양한 학설과 논란은 얼마 전 읽은 일본 추리 <샤라쿠 살인사건>의 수많은 별인설도 생각나게 만든다. 명확한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실존 인물의 존재가 위대한 유산을 남길 경우 후대가 어떻게 이를 평가하게 되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가 아닌가 생각한다. 그만큼 후대의 인물들은 많은 상상력을 동원하여 기발하고 재미있고 설득력 있는 학설과 이론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야기는 하나의 단서에서 시작한 긴 추적과 그 뒤를 따라 벌어지는 살인사건을 다루고 있다. 그 중심엔 셰익스피어 초판본 <퍼스트 폴리오>가 있고, 그 속엔 그의 미발표 원고가 숨겨져 있다. 하지만 단순히 금전적 목적에서 살인이 이루어지는 것 같지는 않다. 첫 부분에 하워드 가의 분노가 살아 숨쉬기 때문이다. 그러면 주인공 캐이트를 뒤를 따라 다니면서 살인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400년이 흘러서야 마침내 드러나는 거대한 음모의 실체는 뭘까? 과연 앞에서 느낀 몇 권의 향기가 후반엔 어떻게 지워지고 자신의 색채를 드러낼까? 다음 권을 읽게 된다면 그 실체가 하나씩 풀리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