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라쿠 살인사건
다카하시 가츠히코 지음, 안소현 옮김 / 도서출판두드림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우키요에 미스터리 3부작의 첫 작품이자 작가의 첫 소설이다. 일본에 유명한 작품인 것에 비해 우리나라에 늦게 들어왔다. 그 이유는 역자가 지적했듯이 초반에 일본 우키요에와 샤라쿠에 대한 다양한 학설을 길게 널어놓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사실 나 자신도 처음엔 상당히 흥미롭게 읽었지만 일본 역사와 많은 화가들이 등장하면서 조금 지루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이 부분을 지나고 나면 이 긴 해설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게 된다. 사전 작업이 길어 힘들지만 그 열매는 달다고 할까?

 

처음에 한 학자의 죽음으로 시작한다. 하지만 사건을 조사하던 형사는 몇 사람을 만난 후 자살로 결론짓는다. 그리고 주인공 츠다는 한 화보집에서 샤라쿠에 대한 놀라운 단서를 찾게 된다. 이 단서를 좇아 그는 여행을 간다. 주변 사람들의 도움으로 자신의 가설을 세우고, 자료를 수집하고, 학설을 만든다. 하지만 그의 신선하고 놀라운 학설은 스승인 거장 니시지마 교수가 빼앗는다. 학계에 만연한 제자와 연구 자료를 도용하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힘겹게 자료를 모으고 학설을 세운 주인공은 비정하고 추악한 현실에 혐오감을 느낀다. 당연하다. 새해 벽두에 교수의 집에 불이 나서 그가 죽고 만다. 이 놀라운 사건으로 이야기는 본격적인 추리소설의 세계로 들어간다.

 

살인사건이란 제목이 있지만 현대 추리소설과 다른 전개와 상황을 보여준다. 잔인한 장면도 없고, 범인들과의 멋진 두뇌 싸움도 없다. 작가가 연구한 분야를 소설로 만들면서 여러 학설들을 의욕적으로 넣었다. 단순히 학설만 늘어놓았다면 조금 지루했을 테지만 학계의 대립과 만연한 부패와 위작을 둘러싼 음모를 집어넣어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흥미를 유발시킨다. 비록 이 소설이 일본 미술계를 배경으로 하였지만 좀더 시선을 세계로 돌리면 우리나라와 외국 대부분으로 확장할 수 있는 대목이다. 그 예로 소더비 경매장 풍경을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사실 이와 비슷한 책을 읽은 기억이 있다. 아니면 영화나 애니 등에서 보았거나. 그래서인지 소설의 가장 중요한 트릭을 간파했다. 하지만 고쿠후가 최후에 말하는 내용들은 대단하다. 트릭에 대한 시작이 비록 잘못된 시각과 마음에서 비롯하였지만 그것을 준비하는 과정과 열정은 한 편의 멋진 학설 하나를 만드는 것과 비슷하게 느껴진다. 연구자가 연구자의 마음 자세에서 시작하여 모든 가능성을 탐구하여 만들어 놓은 것이다. 학자의 마음을 파고든 그 트릭은 학자의 욕심을 자극하고, 그 욕심에 의해 자연스럽게 완성되어진다. 아마 최고의 트릭 구성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김홍도나 신윤복의 이름이 혹시 나오지 않을까 기대를 했다. 수많은 사랴쿠 별인설에서 그 이름을 찾았다. 하지만 어디에도 없었다. 분명 새로운 학설이지만 이 시기엔 호응을 얻을만한 자료도 주장도 없었던 모양이다. 외인설이 없다보니 그 학설들에 괜히 관심이 줄어든다. 하찮은 마음이다. 샤라쿠를 둘러싼 비밀과 학설을 제외하고 살인사건을 다룬 트릭만 보아도 이 소설은 재미있다. 일본 추리소설에서 자주 보게 되는 일본 경찰의 우수성을 말하면서 하나씩 알리바이를 파헤치는 장면은 일본 지리에 무지한 나에겐 조금 힘겹다. 그러나 반갑다. 인간의 욕심에서 비롯한 살인사건과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미술계와 학계의 비리가 멋진 트릭과 만나면서 상승효과를 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지막 모든 사실이 밝혀지는 과정은 조금 힘이 부족하게 느껴진다. 그렇지만 이 삼부작의 다른 작품이 빨리 번역되길 바라는 마음은 변함이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