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공포 문학 단편선 3 - 나의 식인 룸메이트 밀리언셀러 클럽 - 한국편 12
이종호 외 9인 지음 / 황금가지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점점 더 나아지고 있다. 처음 이 시리즈의 첫 권이 나왔을 때보다 더 마음에 든다. 나만의 느낌일까? 전보다 구성이 나아지고 문장은 잘 다듬어져 있다. 피 튀기고, 무서운 괴물들을 등장시키기보다 인간의 심연을 건드리면서 공포감을 조성한다. 벌써 다음 권이 기다려진다면 너무 과장된 표현일까?

 

개인적으로 무리하게 사건을 만들고 어렵게 풀지 않으려는 작품들이 많아서 좋았다. 몇 편의 흥미로운 작품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 비슷한 종말론적 시각을 다룬 두 편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신진오의 ‘공포인자’와 김준영의 ‘붉은 비’다. 전작은 어느 날 알 수 없는 감기에 걸린 후 공포증에 빠지는 무시무시한 전염병을 다룬다. 인간의 다양한 공포를 드러내면서 인간의 허약한 정신력을 보여주지만 그 공포를 이겨내기 위한 가족애와 마지막 문장에서 새로운 희망을 보여준다. 반면에 후작은 어느 날 갑자기 내린 붉은 비에 동물들이 죽는다. 그런데 이 죽은 동물들이 살아나 사람을 공격한다. 작가는 히치콕의 ‘새’를 연상시키고 그 장면들 중 일부를 차용하면서 공포감을 조성한다. 인간은 집 속에 숨어 사건이 해결되길 바라지만 마지막에 내리는 더 붉은 비는 암울한 미래만 암시할 뿐이다. 이 두 작품이 인간에 다가온 묵시록적 장면에서 처한 인간의 두 갈래를 보여주면서 강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왠지 모르게 텅 빈 도시의 풍경과 그 속에서 공포에 떨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각각 다른 느낌을 주면서 다가온다.

 

표제작인‘나의 식인 룸메이트’는 공포보다 대리만족이 먼저 느껴진다. 하지만 포만감 뒤에 다가오는 공포와 광기는 상당히 깔끔하다. 기억과 추억을 다룬 ‘노랗게 물든 기억’과 ‘선잠’은 인간의 기억을 소재로 한다. 전작은 어린 시절 친구가 죽은 사고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친구 어머니의 과도한 집착과 오해가 현실적으로 다가오면서 끔찍하게 느껴진다. 후작은 나만 알고 있는 여자 친구의 존재를 둘러싼 미스터리가 반전처럼 풀어지는데 상당히 재미있다. ‘스트레스 해소법’은 극에 달한 인간 정신의 한계와 그 폭발이 빗어내는 폭주를 보여주는데 앞으로 마트에 가면 왠지 모르게 조심할 것 같다.

 

 

‘담쟁이 집’과 ‘얼음폭풍’은 사실 집중이 어려웠다. 그들이 보여주려고 한 공포가 현실적으로 가슴에 다가오지도 않았고, 마지막 장면들은 왠지 모르게 돌출한 느낌을 준다. 반면에 이종호의 ‘은혜’는 현실에 바탕을 둔 사건을 다룬다. 독자의 시선을 저주나 초월적 존재의 등장으로 몰아가면서 인간의 비뚤어진 욕망으로 귀착하는 과정이 조금 어색하다. 김종일의 ‘불’은 독자가 공포를 느끼게 하기보다 화자가 그 공포를 품어버림으로써 공포의 전이가 약하다. 하지만 그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솜씨는 역시 대단하다.

 

개인적으로 이 시리즈가 언제까지 나올지 궁금하다. 사실 첫 권과 두 권이 나올 때만 하여도 이렇게 발전할지 몰랐다. 많은 작가들이 참여하고 그 중에서 엄선한 결과 때문일까? 어쩌면 전보다 더 두꺼워진 분량이 그들의 자신감의 표현은 아닐까? 어느 순간에는 두 권으로 나누어져 나오는 것은 아닐까? 괜히 이런 저런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