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작가정신 일본소설 시리즈 20
모리미 토미히코 지음, 서혜영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로운 재능 있는 작가들을 만나면 언제나 즐겁다. 얼마 전 이 작가의 다른 책 ‘다다미 넉 장 반 세계일주’를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고 독특하고 기발한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시종일관 유쾌하게 만들었다. 그 소설 속 인물 중 두 명이 이 소설에도 등장한다. 그들의 등장은 반가웠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앞서 읽은 작품에 대한 추억 속으로 잠시 데리고 들어갔다. 혹시 내가 놓친 다른 인물들은 없을까 두리번거리기도 했다.

 

누군가를 짝사랑하는 것은 무척 힘들다. 만약 상대방이 그 사실을 알고 있다면 조금은 진도가 나가겠지만 그 사실을 알지 못한다면 어떨까? 이 소설 속 두 주인공의 상황이 바로 그렇다. 남자는 검은 머리의 그녀를 열심히 뒤쫓지만 그녀는 그와의 빈번한 만남에 대해 그냥 담담하게 반응할 뿐이다. 그 만남을 위해 남자가 어떤 노력을 기울이는지 모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독특한 개성 때문이기도 하다. 술을 마시면 그 끝을 알기 어렵고, 어릴 때 본 그림책에 대한 열정과 추억에 빠지고, 즉흥 연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자신을 아는 주변사람들을 문병하기에 그녀는 바쁘다. 이 긴 걸음 뒤엔 항상 그녀를 짝사랑하는 순진한 선배가 있다. 바로 이 소설은 이 두 쌍의 남녀가 걸어간 길에 대한 발자취이자 모험기고 도전기다.

 

작가는 이 두 남녀를 번갈아 가면서 화자로 내세운다. 남자의 시각은 항상 여자를 뒤를 쫓고, 그녀는 대학 새내기로 보이고 만나는 사람들 때문에 즐겁고 유쾌하다. 신기한 인물들이지만 감탄하는 것에 그치고 현실에선 일어날 수 없는 사건이지만 그냥 담담하게 적응한다. 이런 그녀니 그녀를 짝사랑하는 선배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다만 그녀의 눈에 가끔 선배의 모습이 보이니 그나마 다행이다.

 

누군가를 짝사랑해 본 사람들은 알 것이다. 우연한 만남을 얼마나 만들고 싶은지. 그 한 순간을 위해 얼마나 많은 공을 들이는지. 하지만 상대방이 나에게 관심이 없을 때는 그냥 우연일 뿐이다. 이때 필요한 것은 용기다. 이 소설 속 선배도 열심히 뒤만 쫓지만 어느 순간 용기를 발휘한다. 자신의 마음을 전달하기 위해 어려운 일에 도전하고 몸을 던지고 하늘을 난다. 이 모든 과정이 현실성은 없다. 하지만 이 소설에서 현실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기발하고 독특한 사건과 등장인물들이 만들어내는 즐거운 환상과 애틋한 감정에서 품어져 나오는 좌충우돌하는 일들이 즐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는 소설 속 기인인 이백이 여 주인공에게 하는 말이다. 처음 이 말이 나올 때 새내기 아가씨의 신나는 모험을 의미한다면 마지막에 담긴 이 말의 의미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검은 머리의 작고 귀여운 이 아가씨의 약간 무난한 행보가 밝은 길을 걸어가면서 유쾌함을 준다면 이에 대비되는 선배의 힘겨운 여정은 그 처절함과 절박함이 웃음을 자아낸다. 하지만 이 두 남녀 모두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사실 처음 이 작가의 번역 문장을 읽었을 때 약간 힘겨운 점도 있었다. 익숙하지 않은 문체 때문인데 이번엔 조금 더 적응이 된 모양이다. 아니면 번역자가 달라 느낌이 다른 것인가? 이 소설까지 읽고 난 지금 역시 앞으로 더 많은 번역서가 나올 것이 분명해 보인다. 개인적으로 일본 판타지 노벨 대상을 받은 ‘태양의 탑’이 기대된다. 인기 없는 남자들이 펼치는 망상이 궁금하기 때문이다. 혹시 그 속에 나의 모습이 떡하니 자리 잡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