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 보존법
다이라 아스코 지음, 박미옥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사랑. 참 어렵다. 하는 것도 어렵고, 지키기는 더 어렵다. 그냥 쉽게 그게 뭐 어렵냐고 할지 모르지만 많은 노력과 인내가 필요한 것이 사랑이다. 평범함을 거부하는 듯한 이 소설집에 나오는 6명의 사랑 이야기는 독특하고 재미있다. 개성 넘치고 기발하고 상식의 궤를 벗어난 사람들이지만 그 속엔 진한 인간미가 넘쳐난다.
다이라 아스코의 책으로 두 번째다. 그녀의 장편을 먼저 읽었는데 사실 단편이 더 마음에 든다. 장편도 나쁘지는 않았지만 이번 단편에서 더 큰 재미를 느꼈다. 독특하고 구제불능처럼 보이는 인간들이 등장하지만 그들을 깊이 있게 묘사하기보단 이야기의 분량에 맞게 특징들을 멋지게 살려내면서 읽는 재미를 준다. 많은 인물을 등장시키기보다 적은 인물들을 이야기 속에 잘 녹여내었다. 덕분에 등장인물들 누구 하나도 그냥 무시할 수 없다. 오랜만에 단편 읽는 재미를 톡톡히 누렸다.
6명의 남녀들 속으로 들어가 보면 나와 비슷한 모습들이 곳곳에 보인다. 그렇지만 딱 맞는 인물은 없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개성을 한 방향으로 밀어붙인 주인공들은 어찌 보면 괴팍하지만 어떻게 보면 기발하다. 같은 남자와 4번이나 결혼하는 여자, 멋진 아버지에게 여자 친구를 빼앗긴 남자, 여자 친구 어머니 장례식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지 못하다 중에게 여자를 빼앗긴 남자, 소립자 과학에 빠져 지인들에게 빌붙어 사는 남자, 늘 새집 쇼핑과 이사에 빠져 사는 여자, 너무 착해서인지 많은 아내와 아이를 둔 남자 등. 그들 한 명 한 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비슷한 점도 있겠지만 큰 흐름에서 본다면 다른 점이 더 눈에 들어온다. 이 차이점을 작가는 감정 실린 문장이 아닌 담담한 문장으로 표현하고 있다. 덕분에 약간 거리를 두면서 이들을 볼 수 있었다.
이런 문장이 장편으로 이어진다면 조금은 지칠지도 모른다. 하지만 단편에선 핵심을 찌르는 문장만으로도 충분히 한 사람을 멋지게 만들 수 있다. 이 단편집을 읽으면서 재미를 느낀 점도 바로 그런 점이다. 상황을 설명하는데 공을 들였다기보다 인간들의 특징을 포착하여 드려낸 것이 더 마음에 든다. 감정의 변화와 깊이, 상황의 반전, 현실과 이상, 자기합리화, 용기와 실천 등이 각각 이야기 속에서 표출된다. 이들의 연애 이야기가 잘 다듬어진 구성과 잘 만들어진 인물과 간결한 문장과 잘 어울린다.
여섯 명의 이야기 중 더 눈에 들어온 작품은 있다. 첫 작품 ‘사랑보존법’과 마지막 작품인 ‘너무나 친절한 노부미쓰 씨’다. 이 소설 속 두 남자는 서로 대척점에 서 있다. 전작의 남편이 메마른 감정을 가지고 있다면 후작의 노부미쓰 씨는 너무 다정하다. ‘사랑보존법’에서 한 여자가 한 남자가 4번 결혼한다면 ‘너무나 친절한 노부미쓰 씨’에선 서로 다른 여자 셋과 결혼하고 한 명은 자식만 두고 있다. 이렇게 다른 두 남자의 곁에 있는 여자들의 반응도 각각 다르다. 전작이 여자가 매달리는 형상이라면 후자는 그냥 보고만 있다. 한 가지 공통점이라면 다른 남자들에게 빠지지 않는 정도랄까? 이 외에도 개성 넘치고 특이한 등장인물과 주변사람들의 상황은 단편의 묘미를 살려내면서 즐거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