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지여 꿈을 노래하라 1 ㅣ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2
밀드레드 테일러 지음, 위문숙 옮김 / 내인생의책 / 2008년 5월
평점 :
불편한 사실이 담겨있다. 이미 미국 역사에서 인종차별이 얼마나 뿌리 깊은지 알고 있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사실을 다시 한 번 더 인식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차별을 뚫고 자신이 원하는 대지를 얻게 되는 주인공의 모습은 진한 감동을 준다. 예상하지 못한 재미로 읽는 즐거움을 단단히 누렸고, 간악한 백인들의 행동에선 분노를 느꼈다.
주인공 폴 에드워드는 백인 아버지와 인디언 혼혈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유색인의 피가 섞였다고 그는 유색인으로 취급받는다. 비록 아버지처럼 하얀 피부를 가지고 있지만 그의 출생에 대해 아는 사람들은 그 사실을 결코 놓치지 않는다. 여기서 다시 마주한 사실은 백인들이 남북전쟁 전까지 얼마나 유색인을 인간 취급하지 않았는지 느끼게 된다. 폴의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행동이 사랑보다 욕망에서 비롯하였음을 보여주는 몇 장면에서 그 사실이 잘 드러난다. 그 아버지가 어머니 몸에서 난 주인공과 누이를 집안에서 차별 없이 키웠다고 하지만 대외적으론 유색인이고 백인과 결코 한 식탁에 앉을 수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 폴은 어중간한 존재였다. 백인 아버지에 백인처럼 하얀 피부를 가지고 있었기에 유색인 소년들에게 배척의 대상이었다. 후에 그의 평생의 친구가 된 미첼이 그냥 그를 때리는 장면에서 잘 드러난다. 폴 자신만이 유색인임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지 그 주변의 모든 사람들은 그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이 은연 중 행동이 같은 연배의 아이들에게 거슬린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하지만 자신을 좀더 알게 되고 미첼과 협상을 함으로써 그는 동년배 폭력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러나 그를 기다리고 있는 진실은 더 가혹하다. 바로 배다른 형제이자 가장 친했던 로버트가 그를 배신한 것이다. 이 사건으로 그는 자신의 정확한 위치와 신세를 깨닫게 된다.
전반부가 폴이 자신의 위치를 깨닫기까지 과정을 다루었다면 후반부는 그가 원하는 땅을 얻기 위한 그의 피나는 노력과 사랑을 담고 있다. 자신만의 것을 갖기 위한 그의 노력과 좌절과 고통은 약간은 밋밋한 일상의 반복 속에서 자연스럽게 묻어난다. 아버지의 그늘에서 달아나게 된 결정적 요인인 백인 마주의 약속 불이행에서 얻은 교훈도 결국은 백인이란 이유만으로 무너지는 현실 앞에선 너무 무력하다. 불과 수십 년 전 흑인들이 남부 등지에서 살해당하고 진실이 왜곡된 현실을 생각하면 이 소설의 120년 전은 너무나도 오래 전 이야기다. 그러니 당연히 유색인인 폴이 동등한 대우나 지위를 가진다는 것이 얼마나 꿈같은 일이겠는가!
불편한 사실이 담겨 있는 만큼 이 책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은 모양이다. 학교 추천도서 최종목록에서 슬그머니 제외되고, 도서관에 꽂힐 때마다 몰래 치워졌다고 한다. 인종차별이 없다고 외치는 미국에서 금서로까지 지정되었다니 찔리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 시대의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그 사실성을 더 높였는데 순간적으로 울컥한 적도 많다. 세상은 불공평하고 열심히 일한다고 해서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착한 편이 항상 이기는 것도 아니라는 다른 책 소개 글이 이 소설에 정말 잘 어울린다. 착하고 열심히 노력하지만 백인과 유색인이란 그 두꺼운 벽 앞에 얼마나 불공평한 세상인지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깊은 인종차별보다 더 가슴에 와 닿은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주인공 폴 에드워드다. 가혹한 현실 앞에 너무 무력한 유색인이지만 그는 결코 좌절하지 않는다. 어린 시절 꿈이었던 대지를 얻기 위해 그가 보여주는 노력과 열정은 조금씩 가슴속에 쌓여 거대한 불꽃이 된다. 빠른 진행도 없고, 시선을 끌어당기는 장면전환이나 사건도 없지만 사실에 바탕을 둔 탄탄한 이야기 전개는 강하게 책속으로 끌어당긴다. 일독을 권하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