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을 걷다 - 중국 800년 수도의 신비를 찾아
주융 지음, 김양수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8년 7월
평점 :
품절


 

아직도 나에겐 베이징이란 이름보다 북경이 더 익숙하다. 요즘 한글 표기가 발음을 따라가면서 낯선 지명들이 들려온다. 하지만 한자로 바꾸면 낯익은 이름들이다. 과거의 흔적이 아직도 나의 머릿속에 살아있다는 의미다. 한 개인의 기억 속에 이런 변화가 있다면 800년 고도엔 얼마나 많은 기억과 추억이 쌓여있겠는가! 작가는 바로 고도 베이징을 건설과 변모이야기로 나누어 펼쳐보여 주면서 낯설고 낯익은 그 도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베이징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중축선이다. 중축선을 중심으로 자금성이 세워졌다. 지금처럼 거대한 도시는 아니지만 원, 명, 청의 수도였던 그곳이 그 당시는 엄청난 규모의 도시였을 것이다. 물론 지금과 그 당시의 도시 개념은 다르다. 하지만 작가는 자금성을 둘러싼 수많은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보여주면서 베이징에 대한 자부심과 애정을 드러낸다. 그 자부심에 자리 잡은 과학적인 증거들은 은근히 중국에 대한 자랑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몇몇 과학 기술과 더불어 다루어진 회음벽 이야기는 놀랍고 신기하다. 중국이 그 당시 세계 최고의 과학기술을 보유한 것을 생각하면 당연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하나의 재미난 소품이고 최고의 작품은 바로 중축선에서 시작한 각 지역과 건설과정에서 드러나는 수많은 이야기들이다. 긴 세월을 지나오면서 초기의 그 목적이나 건설 의도가 숨겨지기는 했다. 그러나 수많은 학자들의 노력과 발굴 끝에 많은 성과를 얻었다.

 

세월 속에 사라진 도시의 건설 배경과 목적은 새롭게 변한 베이징 속에서 살아나고 있다. 단순히 그 문화재를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필요에 따라 사라지고 옮겨지고 발굴된다. 제왕의 시대에 필요했던 성곽들은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되면서 없어지고, 전통 가옥은 개발업자들의 이익에 의해 무너진다. 하지만 이런 변화 속에서도 옛 것의 아름다움과 그리움을 간직한 곳은 존재한다. 비록 예전 같은 모습은 아니지만.

 

이 책을 읽기 전 텔레비전에서 베이징의 거리와 집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잠시 보았다. 그 프로그램에서 초점을 맞춘 것은 사라지는 전통가옥과 혼잡한 교통과 환경오염이 주 내용이었다. 자세하게 보지 않아 세부적인 내용과 말해지는 건축가들의 이름은 잊었지만 자본의 논리가 그 바닥에 깔려 움직이고 있었다. 우리의 수많은 도시들이 재개발이니 이익이니 하는 단어로 파괴되고, 오염으로 뒤덮인 사실을 알고 있기에 그 현실이 가슴속으로 파고들었다. 이 책엔 그런 내용은 거의 없다. 목적이 다르니 어쩔 수 없지만 조금 아쉬운 것은 사실이다.

 

가벼운 여행에세이나 도시에 대한 재미난 정보를 얻길 원한다면 이 책은 맞지 않을 것이다. 제목에서 풍기는 낭만성은 없다. 2002년 다큐멘터리 제작하면서 알게 된 사실을 책으로 낸 것이다. 저자는 보급판 서적같이 되었다고 하는데 아주 쉽게 다가오지는 않는다. 다큐멘터리로 본다면 아마 더 재미있고, 한 눈에 들어올 것 같기는 하다. 풍부한 이미지가 내레이터의 설명과 함께 가슴으로 다가올 듯하다. 앞에서 말한 프로그램도 그래서 더욱 쉽게 다가온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대중들이 여기서 말하는 단어나 숫자나 실험을 자신의 머릿속에서 재현한다면 이것은 또 다른 작업이다. 고도 베이징에 대해 좀더 전문적이고 사실적인 지식을 원한다면 어느 정도 그 욕구를 충족해주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8-04 2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8-04 23:2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