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기의 풍토
이스마일 카다레 지음, 이창실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꿈의 궁전’을 읽은 후 참 오랜만에 그의 소설을 만났다. 한 편의 장편소설을 읽은 후 이번엔 단편소설집이다. 개인적으로 장편소설이 더 마음에 든다. 이 개인적 취향엔 나의 몸 상태도 한 몫을 했다. 왠지 모르게 집중력이 흐트러지면서 이 단편소설들이 가슴으로 파고들지 못한 것이다. 또 알바니아란 나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함으로써 생긴 문제도 있다. 낯설어도 너무 낯선 그곳의 정치적 상황을 기반으로 쓴 글이기에 순간순간 빠르게 속도를 내지 못했다. 그래도 맑은 정신이 돌아오면 예상하지 못한 재미로 속도를 내었다.

 

단 세 편이 실려 있다. 표제작인 ‘광기의 풍토’와 ‘거만한 여인’과 ‘술의 나날’이다. 가장 분량이 많은 ‘광기의 풍토’가 최근작이고, 다른 작품들은 완성된 시간이 역순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래서인지 뒤로 가면서 조금 더 편하게 읽을 수 있었다. 물론 정신이 맑아온 것도 이유다.

 

‘광기의 풍토’는 바바조 가문을 바라보는 한 소년 이야기다. 바바조 가문 사람들을 탐구하면서 공산주의가 집권한 당시의 분위기를 잘 나타낸다. 재미난 점은 권력을 잡은 공산당의 당원이란 사실이 알려지면서 자살하려고 한 작은 외삼촌의 이야기다. 왜 그 당시 그들이 당원임을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했는지 모르는 현실에서 그 시대를 이해하는 것을 사실 어렵다. 거대한 부를 가진 사람들이 공산당이 권력을 잡으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우리의 해방 후 북한과 다른 모습이란 점도 깊이 있는 이해를 하는데 걸림돌이 된다. 하지만 이 순진한 아이의 시선으로 바라본 그 시절의 모습은 익숙한 풍경이다. 이데올로기로 대립하는 형제와 대세를 쫓는 아이들이나 변한 시대보다 옛 주인에 대한 애정이 남아 있는 집시는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의 전환기 모습과 너무나도 유사하다. 또 마지막 바바조 할아버지의 장례식 풍경은 아직도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정확하게 다가오지 못하고 있다.

 

‘거만한 여인’은 중국 소설과 비슷한 느낌을 받았다. 장교에서 출신성분이 나쁜 집안의 여자와 결혼함으로써 자신의 미래가 꺾인 남자의 생존기라고나 할까? 말단직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가 보여주는 행동과 생각들이 중국 공산주의 속에서 살아가는 한 가장의 모습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적절하게 아부하고, 고개를 굽실거리고, 튀지 않으려는 모습은 삶의 어려움을 드러낸다. 공산주의가 됨으로써 자신들이 국내에서 가진 부를 잃게 된 장모의 기대와 불만이 그의 삶과 충돌하고 결합한다. 불만으로 가득한 마음속에서도 결국 가족이란 인식은 행동으로 이어져 발생할 수 있는 파국을 막는다.

 

‘술의 나날’이란 제목은 학창시절 내 주변 사람들의 삶이다. 하루라도 술을 마시지 않으면 몸에 가시가 돋는 사람들의 생활이다. 이 소설 속 두 주인공도 술로 매일을 이어간다. 그 시절의 권태가 강하게 풍기는데 어느 순간 찾아온 알 수 없는 열정이 새로운 곳으로 움직이게 한다. 그 도시에서 벌어지는 해프닝과 오해와 자신들의 권태는 원래의 목적을 잃게 하고, 오해와 오명으로 뒤범벅된다. 이 소설이 작가의 20대 중반에 쓰인 것을 생각하면 자전적 요소가 강하게 담겨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체적으로 작가의 특색이 묻어나는 작품집이다. 40년의 세월을 뛰어넘은 작품들이라 문장이나 소재도 다르다. 단편이다 보니 순간적으로 집중력을 잃으면 중요한 내용을 잊게 되는데 그런 불상사도 조금은 있었다. 다시 읽어야 제대로 그 맛을 알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래도 시대와 국가를 초월한 삶의 다양한 모습들이 비슷하게 다가온 것은 작가의 역량이 아닌가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