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미디는 끝났다
이은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에서 보기 힘든 심리추리소설이다. 사건이 발생한 후부터 시작하여 10일 전으로 돌아가 역으로 현재로 돌아오는 구성이다. 그 하루하루에 담긴 사건과 심리적 공포의 진행은 간결한 문장과 빠르고 잔혹한 장면으로 깊게 빠져들게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에서 벌어지는 무시무시한 살인들과 레이즈 킬러로 대변되는 연쇄살인범을 나란히 병치시키면서 한 사람의 공포를 집요하게 파고든다. 그리고 마지막에 만나게 되는 사실은 어느 정도 이미 짐작한 것이다. 그러나 작가의 말처럼 누가 범인인가는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한 사람이 마음으로부터 붕괴하는 그 과정에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은 일인칭으로 이어진다. 주인공이자 화자인 메구리는 메기의 입과 너구리의 눈을 가지고 있는 인기절정의 개그맨이다. 그가 보여주는 개그와 춤은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사로잡는다. 소위 말하는 대박으로 그는 엄청난 일정을 소화해야 하고, 대단한 계약을 성사시킨다. 이런 설정이 조금은 과장된 모습이 있으나 앞으로 벌어질 사건을 위한 기초로 튼튼하게 자리를 잡는다. 가장 높은 곳에 올라간 사람의 추락하는 과정이 점차적으로 진행되다 급속하게 마무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속에 엮인 인간관계와 현실의 무서운 살인사건들이 엮이면서 현실과 환상이 뒤섞이게 된다.
메구리의 심리 상태는 이 소설에서 가장 중요하다. 심리추리소설이다 보니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고, 그 경계가 조금씩 무너지는 과정이 상당히 재미있다. 진행하는 과정 속에서 단서를 하나씩 툭툭 던진다. 하지만 그 단서들이 정확하고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는다. 이 소설에서 아쉬움을 느끼는 몇 가지 중 하나다. 그 단서들과 환상을 재현한 장면은 이 소설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마지막에 가서 그가 왜 이렇게 무너지게 되었는지를 보여주지 않는다. 읽는 과정에서 놓친 것인지 아니면 작가가 의도적으로 비워놓은 것인지 헷갈린다.
요즘 텔레비전을 잘 보지 않는다. 뉴스를 보아도 좋은 소식은 거의 없다. 가끔 보면 놀라운 사건들로 가득하다. 정치는 언제나 삼류고, 이제는 현실에서 벌어지는 살인 사건에 나 자신도 모르게 조금씩 무감각해진다. 예전 같으면 분노하고 노여워하고 놀랄 사건이 평범한 일상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현실이 나에게서 떨어져나가 영화 속 한 장면처럼 느껴지는 것이다. 이것이 현실의 나와는 상관없는 일임을 자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나에게 이런 현실이, 공포가 조금씩 다가온다면 어떻게 될까? 성공하기 위해 나를 도와주던 사람들을 내가 버리고 온 것을 깨닫고 나를 협박하는 존재가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아마 가장 먼저 그들이 생각나지 않을까? 괜히 찔린다는 표현처럼. 이렇게 성공한 개그맨의 심리를 파고들고, 무리한 일정으로 약해진 몸 상태와 현실의 무서운 모습이 다가온다면 예상한 것보다 쉽게 무너질 수 있지 않을까? 마지막 장면에서 나오는 숫자 5의 의미를 깨닫는 순간 정확한 범인을 알게 되지만 이미 나의 마음은 누가 범인인가 보다 메구리의 심리적 붕괴 과정에 빠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