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극락 타이 생활기 - 쾌락의 도가니에서 살다
다카노 히데유키 지음, 강병혁 옮김 / 시공사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다카노 히데유키의 책은 재미있다. 그를 우리에게 소개한 <와세다 1.5평 청춘기>로 관심을 끌었다면 그 다음 작품인 <별난 친구들의 도쿄 표류기>로 그 이미지를 굳혔다. 일본인이지만 일본인처럼 느껴지지 않는 행동과 시각은 그의 별난 삶의 방식과 더불어 시선을 끌기에 충분하다. 정형화된 일본인의 모습보다 어딘가 자유로운 행동과 상상력은 책을 읽는 동안 잠시나마 그 기발함과 자유로움에 여유를 느끼게 만든다. 그 때문에 항상 그의 책이 나왔다면 시선이 간다.
이 책도 나오기 전에 그의 다른 책에서 이미 그 존재를 알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글 속에 많은 흔적을 남긴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앞의 작품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한다. 불과 얼마 전에 첫 작품인 <환상의 괴수 무벰베를 찾아서>가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으니 대단히 빠른 속도로 출간되고 있다.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이 글에선 한국에서 먼저 출간된 책에 비해 재미가 조금 떨어진다. 전작들이 일본이란 나라를 다루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신명나게 펼쳐 보여준 반면에 여기선 타이의 삶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물론 자신의 삶이 그 중심에 있다. 그러나 그 구성이나 서술 방식이 우리가 흔히 접했던 다른 나라 사람의 삶이나 생각 방식에 대해 쓴 글과 별다른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개성이 많이 사라지다보니 그만의 특색이 많이 없어 보인다. 그래서 아쉽다.
개인적으로 태국이란 나라를 여행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렇다고 자주 가거나 오랫동안 머문 것은 아니다. 처음엔 패키지로, 그 다음은 자유여행으로 다녀왔는데 굉장히 피상적이지만 상당히 마음에 들었다. 여행을 가기 전 태국관련 사이트에서 많은 정보를 가지고 갔지만 현지에서 부딪히는 일들은 또 달랐다. 여행객이다 보니 관광지나 번화가에 집중하게 되고, 태국사람과 삶에 밀접하게 부딪힐 기회가 거의 없었다. 이런 피상적인 접촉에 비해 이 책에서 보여주는 태국은 분명 뛰어나고 재미난 시각을 닮고 있다. 첫 여행에서 가이드가 한 말과 여행 전 조사한 내용과 일치하는 부분도 많은 반면 몇 년의 시간이 흐르면서 바뀐 부분도 눈에 들어온다. 그래도 타이인들의 삶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무난한 구성과 일본인의 시선으로 본 태국인의 삶이다 보니 많은 점에서 나의 시선과 겹치고, 엇갈리는 장면들이 있다. 일본과 한국의 두 나라가 공유하거나 배타적인 문화에서 비롯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런 같고 다른 시선으로 읽다 보면 재미나고 즐거운 추억이 떠오르고 그곳으로 가고 싶은 마음이 솟아난다. 아마 시간 여유가 없기 때문에 더 그런 모양이다. 그리고 저자가 나처럼 단기간 스쳐지나간 사람이 아니라 비교적 장기간 머무르고, 자주 다녀간 사람인 것이나 도전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 사람인 점은 약간 평범한 구성의 이 책에 활기와 그만의 자유로움을 느끼게 만든다. 그러나 이 책이 출간된 지 8년이란 시간이 흘렀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저자도 후기에서 지적했듯이 급속하게 이 나라도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가 불과 십 수 년 만에 엄청난 변화를 겪은 것과 비슷하다.
문득 떠오른 생각 하나가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 태국 공포영화가 여름이면 들어와 상영되는데 책 속 수많은 이야기 중에서 두 가지가 연상된다. 하나는 잡지에 시체 사진이 많이 실리고 그 잡지를 보면서 밥을 먹는 여성의 모습과 삐라고 불리는 영의 존재를 둘러싼 두려움에 대한 이야기다. 삶과 문화의 차이가 느껴지는 부분인데 왠지 모르게 공포영화 강국으로 느껴지는 태국의 이미지와 이어진다. 타이에 대해 더 잘 알게 되면 이 책 속에 나온 많은 이야기를 좀더 고개를 끄덕일 것 같다.